[사설] 당정청, 처절히 반성하고 통합형 인물로 전면 쇄신하라

입력 2021-04-09 04:01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4·7 재보궐선거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8일 총사퇴했다. 유권자들로부터 사실상 버림을 받을 정도의 성적을 낸 것을 감안하면 당연한 결정이다. 여당은 새 지도부를 들이기 위해 오는 16일 원내대표 경선을 하고 내달 2일에 전당대회를 열어 당 대표와 최고위원들을 뽑기로 했다. 그런데 현 지도부가 물러나는 것으로 인적 쇄신을 다했다고 생각해선 안 될 것이다. 인적 쇄신을 했느냐 여부는 새 지도부에 어떤 인물들이 포진되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여당이 선거에서 참패한 것은 그동안 친문 강경파에 의해 당이 너무 휘둘린 데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국민 전체를 보지 않고 극성파 의중만 받들어 입법과 정책을 밀어붙이다보니 민심과 괴리될 수밖에 없었다. 극성파 눈치를 보는 데에는 당 대표와 일부 최고위원들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렇기에 새 지도부에는 극성파 입김에서 벗어나 균형된 시각으로 민의를 파악할 수 있는 인물들이 많이 들어와야 한다. 또 입만 열었다 하면 갈등을 조장하는 ‘싸움닭’ 정치인이 지도부 멤버여서도 곤란하다. 대신 대화와 타협에 능한 통합형 인사들이 전면에 나서야 당도 거듭나고 국민의 마음도 다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인적 쇄신은 정책 실패의 책임이 있는 청와대와 내각에서도 대폭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 단순히 얼굴을 바꾸는 데 그쳐선 안 되며 정책기조가 확 달라졌음을 확인시키는 인사여야 한다.

여권이 새출발하려면 과거의 잘못된 행태에 대한 처절한 반성이 전제돼야 한다. 하지만 일부는 아직도 남 탓 하기에 급급하는 실정이다. 민주당 김종민 최고위원은 이날 선거 패배 이유 중 하나로 언론 탓을 했고, 다른 범여권 인사는 선거 참패를 보고서도 ‘(이제) 민주당의 살 길은 검찰수사권 완전박탈뿐’이라며 민심과 전혀 동떨어진 주장을 내놓았다. 문재인 대통령조차 선거 결과에 대해 “더욱 낮은 자세로 국정에 임하겠다”고 밝혔는데 아직도 ‘그들만의 인식’에 갇혀 있는 것이다. 여권이 그런 인식에서 벗어나려면 남 탓에 앞서 자기 잘못이 없는지 돌아보고, 반대 진영의 말을 경청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내로남불을 극구 경계해야 함은 물론일 테다. 국민적 저항이나 논란이 있는 정책에 대해선 속도조절을 하거나 경우에 따라선 과감히 포기하는 용기도 필요하다. 무엇보다 여권 전반에 팽배해 있는 유아독존적 태도를 버리고 겸손해져야 한다. 그러려면 말과 SNS 글에서부터 품격이 묻어나야 할 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