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이 최대 화두가 된 대구·경북 대학들이 연대를 통해 활로를 찾고 있다.
7일 경북대학교에 따르면 지역대학 20곳이 ‘대구경북혁신대학’ 설립 추진을 위해 손을 잡았다. 경북대, 대구대, 영남대, 계명대, 대구가톨릭대, 안동대 등 14개 대구·경북 4년제 대학과 경북도립대, 영진전문대, 영남이공대 등 6개 전문대학이 모여 교육부 공모사업인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이하 지역혁신사업)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역혁신사업은 교육부가 대학과 지방자치단체 등이 ‘지역혁신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2022년 한해 사업비로 686억원(지방비 30%포함)이 투입되는 대형 국책사업이다. 교육부는 오는 5월 사업 대상을 선정할 계획이다.
지역대학들은 대구경북혁신대학을 지역혁신사업의 최종 단계로 생각하고 있다. 대구경북혁신대학은 대구·경북의 사업 핵심분야(전자·정보기기, 모빌리티 부품) 육성을 위해 지역대학들이 공동으로 특화된 교육과정을 개설·운영하는 공유형 대학이다. 참여 대학 학생들은 자유롭게 교육과정을 선택해 들을 수 있다. 이수 학점에 따라 대구경북혁신대학 학위 취득, 부전공 인정, 이수증 수여 등의 방식으로 운영되며 연간 1000명의 지역 혁신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대학들이 뭉친 것은 올해 신입생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등 지방대학의 위기 때문이다. 청년 유출도 증가 추세에 있고 출산율 저하도 심각하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