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아침부터 투표 발길 이어져… 일부선 ‘인증 손도장’

입력 2021-04-08 04:03
한 시민이 7일 서울 용산구의 한 투표소 앞에서 투표를 하기 위해 체온을 측정하고 있다. 정신영 기자

서울시장 보궐선거 투표가 진행된 7일 서울 각지의 투표소에는 아침부터 유권자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투표소 내 방역수칙은 대부분 잘 지켜졌지만 일부 유권자들이 ‘인증 손도장’을 찍는 등 방역수칙을 어기는 모습도 보였다.

이날 오전 7시 광진구 자양2동 주민센터에는 유권자들이 줄을 서 있었다. 전통적으로 여당 지지세가 강한 이곳에선 1996년 15대 총선부터 현재의 여당 소속 국회의원이 당선됐다. 그렇지만 투표를 마친 일부 주민은 이번에는 야당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했다.

투표소에 두 번째로 입장한 70대 여성은 “야당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주민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자양동 주민 이모(49)씨도 “그동안 여당을 지지했던 이웃들도 정부의 정책 실패 때문에 이번엔 바꾸겠다고 한다”고 말했다.

유권자들은 이번 투표의 최대 쟁점을 부동산 정책으로 봤다. 강남구 대치동 인근 투표소에서도 오전 7시쯤 시민 10여명이 줄지어 있었다. 투표소 앞에서 만난 박모(64)씨는 “정부를 심판하기 위해 나왔다”면서 “세금이 너무 많이 올랐다. 신임 시장이 공공주도 정책에 제동을 걸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은마아파트 주민 박모(33)씨는 “젊은층의 주거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약을 내세운 후보에 표를 던졌다”고 했다.

야당 후보가 시민들의 팍팍한 삶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았다. 영등포구 대림동에서 만난 박모(28·여)씨는 “야당 후보가 토론회에서 서울 상가 평균 임대료를 24만원이라고 했는데 서민 사정을 제대로 모른다고 생각했다”면서 “더 못할 것 같은 후보를 배제했다”고 했다. 용산구에서 꽃가게를 운영하는 이모(71)씨는 “서민이 살 수 있는 주택을 늘리는 정책이 가장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부분 유권자들은 방역수칙을 잘 지키는 모습이었으나 일부는 어긋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중구 소공동 인근 투표소에서 만난 김모(38)씨는 손등에 투표 도장을 찍어 보여줬고, 2m 거리두기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기도 했다. 송파구 문정동의 한 투표소에서는 지인 유권자들이 밀착해 스마트폰을 함께 보며 대화하는 모습도 보였다.

황윤태 안명진 임송수 정신영 기자 trul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