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우 올림픽 때 예선 탈락하고 나서 핸드볼 꿈나무선수 30%가 그만뒀다는 얘기를 들었어요. 올림픽 영향이 크긴 크구나, 위기감이 들더라고요. 책임도 생각하게 됐고.”
세 번째 올림픽을 준비하는 여자 핸드볼 대표팀 최고참 심해인(34)의 어깨는 무겁다. 그와 주장 류은희 등 대표팀 최고참급 선수들은 2004년 아테네올림픽의 ‘우생순’ 신화를 보고 자란 세대다. 2010년대 들어 런던올림픽 리우올림픽에서 연달아 메달권에 들지 못한 대표팀 선수들에게 이번 올림픽의 의미는 크다. 진천선수촌에서 훈련 중인 대표팀 선수들과 지난 4일 전화 인터뷰를 했다.
대표팀은 2019년 9월 아시아 지역예선에서 5전 전승으로 올림픽 10회 연속 진출을 이뤄냈다. 핸드볼 종목에선 세계 처음이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올림픽이 연기돼 선수들은 힘든 시간을 보내야 했다. 골키퍼 박새영(26)은 “선수촌에 입소했다가 소식을 들었다. 팀 미팅에서 퇴촌 통보를 받아 짐을 쌌던 게 기억난다”며 “훈련을 본격적으로 시작도 하지 않은 상태였다”고 말했다.
무관중으로 진행된 지난 시즌도 고되긴 마찬가지였다. 박새영은 “시즌 중 소속팀 숙소를 폐쇄했다. 훈련 때마다 선수들을 불러모아 훈련하니 평소만큼 연습할 수 없었다”며 “공을 많이 못 만지니 감각이 무뎌졌다”고 말했다. 심해인은 “우리 팀은 시즌 도중 외부 식당도 사용하지 않고 숙소 안에서 도시락만 먹었다”며 “정신적으로 힘든 시즌이었다”고 말했다.
대표팀은 지난달 중순 선수촌에 소집됐지만 코로나19 탓에 해제됐다. 다시 모인 건 지난 3일이다. 훈련시간을 다 합쳐도 일주일이 되지 않는다. 20일까지 고강도 웨이트, 재활 훈련을 거친 뒤 다음 달부터 연습 경기를 하며 감각을 끌어올려야 한다. 최종명단이 확정되는 건 6월 말이다.
한국 여자 핸드볼은 여전히 강하지만 세계 무대의 벽은 높다. 2019년 세계선수권대회에서 대표팀의 성적은 11위, 2017년 같은 대회에서는 13위였다. 2000년대만 해도 꾸준히 10위권 안에 든 걸 생각하면 위기다. 2016년 리우올림픽 예선 탈락은 ‘리우 쇼크’로까지 불렸다. 1990년대 제왕으로 군림한 한국 여자 핸드볼이지만, 올림픽 때 반짝 몰리는 관심만으로 세계 무대 왕좌를 지키는 건 무리다.
한국은 이번 올림픽 조 예선에서 네덜란드와 노르웨이를 비롯해 개최국 일본과 앙골라, 몬테네그로와 A조에 편성됐다. A조 6개 국가 중 상위 4팀에 들면 순위에 따라 B조 상위 4개 팀과 8강 대진이 결정된다. 강재원 대표팀 감독은 “노르웨이와 1차전, 네덜란드와 2차전 중 하나를 잡아야 한다. 그래야 8강 좋은 자리에 선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올림픽은 대륙별 최고의 팀이 나오는 자리다. 누가 약하다고 얘기를 못 한다”고 말했다.
같은 조 국가 중 세계선수권대회 우승국 네덜란드는 물론 노르웨이 역시 막강하다. 대표팀은 2019년 세계선수권 대회 본선에서 두 국가를 연달아 상대했지만 모두 패했다. 심해인은 “네덜란드는 2017년에 이겨본 적이 있지만 노르웨이는 스피드가 너무 좋았다”고 회상했다. 박새영은 “유럽 선수들은 신장이 커서 슛 타점이 높다. 골키퍼로서 상대할 때 ‘내 키가 더 컸더라면’ 생각도 했다”고 했다.
칼을 갈고 나올 일본과 승부 역시 무시할 수 없다. 대표팀은 일본에 진 적이 없다. 일본으로서는 8강에 들지 못해도 아시아 최강 한국을 이기면 성과를 거둔 셈이다. 박새영은 “일본은 이겨야 하는 팀이지만 당연히 이긴다 생각하면 안 되는 팀이다. 우리를 잡아보려고 애쓰는 게 보인다”면서 “여유 있는 경기를 하려면 일찌감치 골 차이를 벌려놓는 게 좋다. 방심해선 안된다”고 말했다.
국내 리그 득점왕이자 2시즌 연속 정규리그 최우수선수(MVP) 강경민(24)은 처음으로 성인대표팀에 소집됐다. 대표팀에는 그처럼 국제무대 경험이 적은 어린 선수들이 다수 뽑혔다. 그는 “대표팀에 소집됐다는 연락을 받고나서 ‘잘할 수 있을까’ 걱정이 먼저 들었다”면서 “일단 강도 높은 훈련을 따라가는 게 목표”라고 했다.
심해인에게 이번 올림픽은 마지막일 가능성이 높다. 그는 “대표팀 또래 선수들과 이번이 마지막 올림픽 아닐까 이야기한다. 마지막이니 꼭 메달을 걸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어렸을 때 대표팀에 가면 언니들이 ‘네가 자신있는 것, 잘할 수 있는 걸 해라. 부족한 건 언니들이 메워주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는 “대표팀에 어린 선수들이 많지만 우리에겐 그런 경험이 있다. 팀으로서 부족한 걸 메워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표팀 선수들이 올림픽에서 성적을 내고픈 건 한국 핸드볼의 미래를 위해서이기도 하다. 자신들이 어릴 적 ‘우생순’을 보며 그랬듯, 이번 올림픽을 보며 성장할 어린 후배들이 희망과 꿈을 갖길 바라는 마음에서다. 심해인은 “‘라떼’ 타령으로 들릴 수 있지만, 국내 환경과 대우가 많이 좋아졌다. 열심히 하면 부나 명예도 따라온다”면서 “그만두지 말고 끝까지 파이팅 해달라”고 부탁했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
[가자! 도쿄로]
▶⑪
▶⑫
▶⑬
▶⑭
▶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