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은 4·7 재보궐선거를 이틀 앞둔 5일 ‘대안세력 부재론’을 강조하며 막판 총력전을 펼쳤다. 마지막까지 후보 선택을 고심하는 중도층 표심을 사로잡기 위해 “그래도 국민의힘은 안 된다”는 프레임을 전면에 내세웠다. 민주당은 사전투표가 열린 지난 주말을 기점으로 바닥 민심이 바뀌고 있다고 보고, ‘1% 접전’ 싸움에 기대를 걸고 있다.
김태년 민주당 대표 직무대행은 중앙선대위 회의에서 “부동산에 대한 분노 때문에 원조 투기세력을 부활시켜선 안 된다”며 “민주당이 부족하지만, 집값 안정과 2·4 공급대책을 결자해지할 수 있도록 다시 한번 기회를 달라”고 말했다. LH 사태로 민주당에 실망한 민심이 차마 국민의힘으로 가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도 내놨다. 김 대행은 “(민주당에) 화나서 사전투표하러 갔다가, 차마 오세훈은 못 찍겠어서 박영선을 찍었다는 말씀을 들었다”며 “성찰하고 변화하는 민주당을 꼭 보여드리겠다”고 했다.
이낙연 상임선대위원장도 “서민과 중산층을 돕고 사회적 약자를 먼저 생각하는 정당은 민주당밖에 없다. 잘못을 스스로 드러내고 고치는 정당도 저희 뿐”이라고 강조했다. 박영선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는 서울 강서구 유세 현장에서 “정권 심판이 아니라 오 후보를 심판해야 한다는 국민 분노가 높아지고 있다”며 “거짓말하는 후보는 막아야 한다는 게 시민들 생각”이라고 했다.
당내에선 큰 폭의 격차를 이어가던 재보선 판세가 사전투표를 통해 달라졌다는 기류가 높아지고 있다. 야권의 ‘정권 심판론’에 대응해 ‘대안 부재론’이 효과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최인호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당보다 후보를 보고 찍겠다는 유권자들이 많이 늘고 있다는 걸 확연히 느꼈다”며 “피 말리는 1% 싸움으로 갈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 선대위 핵심 관계자는 “시민들도 민주당에 실망은 했지만 국민의힘 후보가 대안이 될 수는 없다는 점에는 공감하고 있다”며 “이번 선거는 ‘민주당에 실망한 사람’과 ‘그래도 민주당에 대안을 기대하는 사람’의 투표 향방에 따라 승패가 갈릴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은 투표 당일까지 대안 부재론에 동력을 집중하며 ‘부동산 안정을 위해선 집권 여당을 선택하는 것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부각시킨다는 방침이다. 캠프 핵심 관계자는 “서울시의회 109명 중 101명이 민주당 소속인 점, 1년2개월짜리 야당 시장은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점을 막판까지 알릴 계획”이라며 “아무리 민주당이 싫어도 국민의힘은 안 된다는 것을 호소하겠다”고 했다.
양민철 박재현 기자 listen@kmib.c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