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해철(사진) 행정안전부 장관이 자신의 취임 100일을 돌아보며 “지역균형뉴딜이 첫 발을 내딛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12월 24일 취임한 전 장관은 취임 100일을 하루 앞둔 1일 기자들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 소회를 밝혔다.
전 장관은 올해 본격화한 지역균형뉴딜 정책에 기대감을 드러냈다. 정부가 디지털·그린(친환경) 혁신을 추진하는 지방자치단체를 지원하는 정책이다. 전 장관은 “지역균형뉴딜은 코로나19 이후를 대비한 지역산업과 경제혁신 전략”이라며 “지역 현장을 찾고, 정부 내 여러 부처와 논의해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등 지역균형뉴딜이 조기에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했다”고 말했다. 행안부는 올해를 ‘지역균형뉴딜의 원년’으로 삼고 시도별 대표사업 100개를 선정하고 있다.
자치분권 면에서도 진일보했다고 분석했다. 전 장관은 “자치분권 2.0을 차질 없이 추진해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 자치를 만들고, 2단계 재정분권을 통해 자치단체의 재정을 확충하겠다”며 “주민과 의회를 중심으로 한 실질적인 의미의 자치분권이 시작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또한 올해부터 시작된 자치경찰제를 통해 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자치분권 2.0은 지자체 법령 등 기본 토대를 쌓은 자치분권 1.0에서 나아간 개념이다. 실제 주민중심의 자치를 펼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전 장관은 달라진 행안부 내부 모습도 전했다. 그는 “대면 방식의 간부회의·대면보고를 영상회의·전자 메모보고로 바꿔 언제 어디서나 보고와 소통이 가능한 문화를 만들었다”며 “장관 주재 간부회의를 공개형 영상회의로 전환해 누구든지 저에게 직접 이야기할 수 있게 되면서 의사결정과 정보공유가 빠르고 명확해졌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대응도 소홀히 할 수 없었다. 전 장관은 “백신접종을 포함해 도움이 되는 정보를 미리 알리는 ‘국민비서(챗봇)’처럼 행안부가 국민의 안전을 위해 봉사할 것”이라고 했다.
오주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