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재보궐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2030세대 표심의 종착지가 주목받고 있다. 2030세대는 전통적으로 진보성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았다. 특히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정국 이후 문재인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으로 분류됐다. 촛불 정신으로 탄생한 정부인 만큼 ‘공정·평등·정의’의 가치에 기대를 걸었기 때문이다.
3년 전 대통령선거 당시 문 대통령의 20대와 30대 득표율은 각각 47.6%, 56.9%(지상파 3사 출구조사 결과)를 기록했다. 전체 득표율인 41.1%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다. 2030세대의 투표는 득표율 2위 홍준표 후보(20대 8.2%, 30대 8.6%)와 격차를 벌린 결정적 요인이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문 정부의 ‘불공정’이 다시 불거지며 2030세대의 지지 철회가 이어졌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투기사태가 발생한 것. 게다가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인들도 부동산 투기에 가담했다는 의혹이 잇따라 제기됐다. 이에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가족 비리’ 의혹, 이른바 인국공 사태 등으로 누적된 ‘불공정’ 분노가 재점화됐다.
흉흉한 민심은 문 대통령의 지지율에 곧바로 반영됐다. 여론조사전문기관 데이터리서치가 쿠키뉴스 의뢰로 지난달 22일 유권자 1000명을 대상으로 ‘문 대통령 지지율’을 조사한 결과, 긍정평가는 31.4%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18~29세의 경우 지지율이 14.0%p 빠지며 최하위권인 26.9%로 집계됐다.
대선 전초전으로 풀이되는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사건으로 치러진다는 열세 상황에서 시작한 박영선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는 민심의 분노에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가 뉴시스 의뢰로 지난달 30~31일 서울 거주 유권자 806명을 대상으로 공표·보도 금지일을 앞둔 마지막 여론조사(응답률 10.0%, 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5%p)를 실시한 결과, 20대의 지지율은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 51.2%, 박 후보 32.7%로 나타났다. 30대는 오 후보 52.8%, 박 후보 39.1%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러한 상황에 여야의 선거 유세 방식도 달라졌다. 국민의힘은 ‘사전투표’를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나섰다. 그간 부정 개표 가능성 등을 제기하며 사전투표를 말려온 것과는 대조적이다. 사전투표 참여 비중이 높다고 알려진 2030세대의 표심이 야권을 향하는 만큼 이들을 투표장으로 끌어내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사전투표 독려문을 내고 “2일, 3일 이틀간 진행되는 사전투표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사전투표에 적극 참여해 문 정부를 엄정하게 심판해달라”고 당부한 바 있다. 청년들을 직접 유세현장으로 이끄는 ‘2030 시민유세단’도 기획했다. 문 정부의 실정에 분노하는 평범한 청년들이 국민 앞에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는 취지다. 오 후보 캠프 이준석 뉴미디어본부장이 주도한 ‘유세단’은 유세현장과 온라인 등에서 큰 반향을 얻고 있다. 이를 두고 박상병 인하대 정책대학원 교수는 “현재 2030세대는 정부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크다. 일자리가 없을 뿐만 아니라 평생 일해서 집도 못 산다는 좌절감을 느낀다”며 “야권에 유리한 상황이 형성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현재 지지율이 투표 당일까지 연결될 것이라고 단정할 순 없다고 했다. 박 교수는 “2030세대는 투표율이 가장 낮은 유권자다. 이들의 표심은 투표함 열기 전까지 단언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또 “특정지역, 성향에 매몰되지 않는 ‘실용적’ 이기 때문에 표심이 움직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조현지 쿠키뉴스 기자 hyeonzi@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