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가 유세용 점퍼에서 당명을 뺐다. 이낙연 민주당 상임선대위원장은 하루 두 차례나 국회 소통관을 찾아 정부 실책에 대한 사과와 지지를 읍소했고, 민주당은 등 돌린 30대를 붙잡기 위해 부동산 공급 전쟁에 착수했다. 민주당의 이런 행보가 일시적인 4·7 재보선용 쇼인지, 진정성 있는 반성인지를 두고 여론이 분분하다.
박 후보는 31일 이틀째 당명이 없는 파란색 점퍼를 입고 유세 현장에 나타났다. 캠프 관계자는 “처음 선거전략을 짤 때부터 성공한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출신 인물에게 초점을 맞춰왔다”며 “그저 선물 받은 점퍼를 입었을 뿐 다른 의도가 있는 건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 후보는 공식 선거운동 시작 이후 줄곧 당명이 적힌 점퍼를 입어왔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는 물론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의 박원순 전 서울시장 옹호 발언,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박주민 민주당 의원의 임대차 3법 ‘내로남불’ 등 매일같이 악재가 터지자 당과 거리를 두기 시작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당 한편에서는 “그나마 박 후보나 되니까 이런 (민주당) 지지율을 버티는 것”이란 자조도 있다.
이런 분위기를 감안한 듯 민주당은 연일 반성과 사죄, 읍소에 나서고 있다. 이 위원장은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여러분의 화가 풀릴 때까지 저희는 반성하고 혁신하겠다”며 “압도적 의석을 주신 국민의 뜻을 저희가 제대로 받들었는지, 공정과 정의를 세우겠다는 저희의 약속을 제대로 지켰는지, 스스로 묻고 또 묻겠다”고 사과했다.
이 위원장은 “지난해 4·15총선에서 1주택 실수요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완화를 말하곤 총선 승리 후 반대로 갔다”는 질문에 “종부세가 아니라 재산세였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그는 오후 다시 국회를 찾아 “확인해보니 종부세 언급이 있었다. 기억이 정확하지 못했다. 미안하게 생각한다”며 한껏 몸을 낮췄다.
이 위원장은 내 집 마련 국가책임제 도입을 제안했다. 최근 30대 이탈이 가속화된 상황에서 이들의 ‘내 집 마련’ 꿈을 이뤄줘야 한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 위원장은 국가책임제를 통해 생애최초 주택구입자에 대한 금융규제 대폭 완화, 맞춤형 지원 확대를 약속했다. 주택청약우대제를 도입하고, 청년·신혼세대를 위한 ‘50년 만기 모기지 대출 국가보증제’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도 기존 임대주택 위주의 부동산 정책을 뒤로하고 30대를 대상으로 전면적인 부동산 보급 정책으로 유턴한 상태다.
민주당 관계자는 “30대가 등을 돌린 이유는 착실히 살아왔음에도 서울에서 집 한 채 마련하기 어렵다는 좌절감 탓”이라며 “생애최초·신혼부부주택, 나아가 2030에 많은 싱글족을 위한 주택 등을 구분해 부동산 관련 금융·세제지원 총력전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장기 1주택자와 무주택자에 대한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한도 10~15% 상향 방안도 논의 중이다.
민주당 내에선 30대의 민심 이반을 이대로 두고 볼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당장 재보선도 문제지만 다음 대선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 주도의 부동산 투기 세력 청산 작업과는 별개로 2030과 중도층 마음을 돌리기 위한 부동산 실사구시 정책 드라이브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