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어민 소득의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는 김이 영양성분과 기능성물질이 풍부해 ‘먹거리 검은 황금’으로 평가받았다.
전남도보건환경연구원은 ‘김 품종별 영양성분 및 기능성물질 연구’ 결과 아미노산과 철 칼슘 미네랄 등 유용한 영양성분과 기능성물질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31일 밝혔다.
김의 분포지역은 한국 중국 일본이 주를 이룬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로 서해 남해 제주 등에서 서식한다. 품종은 참김, 방사무늬김, 모무늬돌김, 잇바디돌김(곱창김) 등 전 세계적으로 140여종이 있다. 우리나라에선 20여종이 분포한다.
전남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전남해양수산과학원의 도움을 받아 우리나라에서 주로 양식하는 잇바디돌김, 모무늬돌김, 방사무늬김(김밥김)을 대상으로 품종별 영양성분 및 기능성 물질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단백질을 구성하고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의 생산 및 체내 대사에 관여하는 화합물인 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높은 함량을 나타낸 아미노산은 아스파트산, 글루탐산, 루신, 아르지닌, 알라닌으로 전체 아미노산의 46.4~50.8%를 차지했다. 이들 아미노산은 근육강화 피로회복 에너지대사에 도움을 준다. 아스파트산과 글루탐산은 김의 감칠맛을 주는 성분이다.
인체 필요량을 기준으로 하루에 100㎎ 이상 필요한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등도 높은 함량을 보였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