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지역 청년 10명 중 6명은 코로나19 영향 때문에 일자리를 찾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년 10명 중 7명은 올해 노동시장 전망을 어둡다고 답했다.
충남연구원 김양중 연구위원과 김영수 연구원은 지역 청년들을 대상으로 충남의 청년 노동시장 문제, 일자리 정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31일 ‘2021 충남도정에 바란다:청년일자리 편’을 발표했다. 조사는 2월 1일부터 3주 간 도내 20대 대학생과 취업준비생 33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 중 71.5%가 ‘올해 청년 노동시장이 나아지지 않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청년 노동시장이 악화된 이유에 대해서는 ‘코로나19로 인한 경기불황 때문에 일자리가 감소했다’는 응답이 61.4%로 가장 높았다.
연구진은 “청년들의 사회진출이 늦어지면 부채 증가 등 사회적 비용이 커질 수 있으므로 청년들의 안정적인 취업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특히 코로나19로 충남의 주력산업인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등 제조업은 물론 서비스업 분야도 피해가 커서 일자리가 축소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충남의 청년 노동시장 문제점에 대해서는 응답자 중 33.3%가 불안정 고용(비정규직 등)을 가장 많이 언급했다. 다음으로 부족한 일자리 수(22.7%), 지역인재의 수도권 이탈(15.8%), 제조업(생산직) 중심의 일자리(13.3%) 등이 뒤를 이었다.
노동자·기업·지역이 함께 만들어가는 상생형 일자리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83.6%로 매우 높았다. 이같은 상생형 일자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혜택으로는 고용안정이 26.4%로 가장 높았고 지역인재 채용 25.5%, 주거지원 15.2%, 자산형성 지원 15.2%였다. 청년들은 사무직과 공무원에 대한 취업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직을 희망한다는 응답률은 32.7%로 가장 높았고 공무원이 25.2%로 두 번째를 기록했다.
남성의 경우 생산직 및 기술직에 대한 선호도가 전체 응답률인 13.6% 보다 8.2%p 높았으며, 여성은 서비스 및 판매직에 대한 선호도가 전체 응답률인 14.2% 보다 5.2%p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취업준비생에게 지급되는 취업 지원금 사업과 취업 컨설팅 지원 사업에 대한 인식은 높았지만, 관련 교육 사업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낮았다. 청년들이 원하는 것을 반영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성=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