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맞붙는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가 29일 2차 TV 토론에서도 네거티브 공세를 펼치며 혈전을 벌였다. 전날 첫 토론에서 오 후보의 내곡동 땅 보상 의혹과 문재인정부 부동산 실책 등을 놓고 난타전을 벌인 두 후보는 이날도 서로의 약점을 부각하며 치열한 설전을 이어갔다.
박 후보는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초청 토론회에서 오 후보의 내곡동 땅 의혹을 재차 거론하며 공세에 나섰다. 박 후보는 “내곡동 땅 의혹은 오 후보의 거짓말과 논점 흐리기가 문제의 본질”이라며 “거짓을 미래세대에게 물려줄 수 없다. 정직하고 공정한 서울시장을 원한다면 저를 뽑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LH 사태’에 대해서도 “LH는 이명박정부 시절 토지개발공사와 주택공사가 합쳐져 탄생한 것”이라며 “이번 기회에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 후보는 박 후보의 ‘내곡동 의혹’ 주장에 대해 여당의 일방적인 흑색선전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그는 또 박 후보의 주택 공급정책은 현실성이 없다며 반격했다. 오 후보는 “5년 내 30만호 신규 공급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간 주도 재건축·재개발 확대 방침을 내세웠다. 오 후보는 “시장 취임 후 일주일 안에 시동을 걸고, 1년 내 성과를 내겠다”며 “서울 목동과 상계동, 압구정동과 여의도동 일대 아파트 재건축을 신속하게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이수봉 민생당 후보까지 참여한 3자 토론으로 진행됐다. 이 후보는 직전 선거에서 3% 이상 득표하며 참가 자격을 얻었다. 이 후보는 “이번 서울시장 선거는 민주당 때문에 열린 것”이라며 “오 후보 또한 내곡동 땅 의혹에 대해 제대로 해명해야 한다”고 두 후보를 나란히 비판했다.
토론회에 앞서 오 후보는 서울 영등포역 앞에서 집중유세를 갖고 “문재인 정권은 위선 정권”이라며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불명예 퇴진’을 부각했다. 자신에게 집중된 내곡동 땅 의혹의 시선을 분산시키고 집값 상승 등 부동산 실정의 책임이 현 정부에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오 후보는 전월세상한제 시행 직전 아파트 전세보증금을 14% 올린 김 전 실장을 거론하며 “임대차 3법을 만들고 전월세를 올려 빈익빈 부익부를 심화시킨 장본인”이라고 맹비난했다. 이어 “문재인정부는 대한민국 상식과 정의를 땅바닥으로 떨어뜨렸다”고 날을 세웠다. 유세 현장엔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나경원 전 의원 등이 찾아와 화력을 더했다.
박 후보는 대학가를 돌며 청년층 표심 잡기에 몰두했다. 박 후보는 서울 성동구 왕십리역과 한양대 일대에서 유세를 벌이고 “청년에 대한 월세 지원을 화끈하게 늘리겠다”고 공약했다. 청년을 위한 ‘직주일체형 주택’을 2023년까지 2만호 추가 공급하고, 1·2인 가구와 여성안심주택의 품질을 높이겠다는 ‘서울 선언’도 발표했다.
정부·여당의 최대 악재로 떠오른 부동산 민심 달래기에도 공을 들였다. 박 후보는 “현재 서울시민 2명 중 1명이 무주택자”라며 “무주택자들의 내 집 마련 시기를 앞당기는 서울시장이 되는 것이 저의 가장 큰 목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 후보의 내곡동 땅 의혹에 대해 “(오 후보의) 거짓말이 하나둘씩 밝혀지고 있다. 거짓말하는 서울시장이 우리 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쳐 주겠느냐”고 비판했다.
양민철 김동우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