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의 분노’ 진보에 유리했던 사전투표, 이번엔 다르다

입력 2021-03-31 00:03

4·7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명운을 건 여야 모두 사전투표로 인한 투표율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사전투표일에 주말이 포함되면서 총투표율 상승을 견인할 전망이다. 진보계열 정당에 유리했던 사전투표와 투표율 상승이 이번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는 정반대로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야당은 분노한 2030세대의 사전투표 참여 독려에 나섰고, 여당은 숨은 ‘조직표’에 사활을 거는 분위기다.

일반적으로 사전투표는 총투표율을 높이고, 동시에 젊은층의 투표 참여를 늘리면서 진보계열 정당에 유리한 제도로 평가받았다. 더불어민주당이 180석을 차지하며 압승을 거뒀던 지난해 21대 총선 사전투표율은 26.69%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특히 접전이던 지역구에서 사전투표가 개봉되면 민주당 후보가 앞서나가는 상황도 빈번하게 펼쳐졌다. 사전투표율이 26.06%였던 2017년 19대 대선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됐다. 민주당이 승리했던 2018년 지방선거 때도 사전투표율은 20.14%였다.

사전투표율 상승 추세는 이번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주말을 낀 4월 2~3일 이틀간 진행되는 만큼 직장인들의 투표가 용이해 2030세대의 참여가 활발할 전망이다.

사전투표가 진보계열 정당에 유리하다는 공식이었지만 이번에는 다르다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임직원 땅 투기 의혹으로 부동산 민심이 완전히 돌아서면서 2030세대의 적극적인 사전투표 참여와 투표율 상승이 오히려 국민의힘에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2030세대 지지율에서 박영선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이에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까지 직접 나서 사전투표 참여를 적극 호소했다.

그는 30일 “정권에 분노한 마음을 속으로 삭여서는 안 된다”며 “투표장에 직접 나와서 정권 응징 투표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30세대가 선거 당일이자 평일인 4월 7일보다는 사전투표를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 것이다.

반면 여당은 조직력에 기반한 표에 승부를 걸고 있다.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24곳의 구청장이 민주당 소속이고 시의회까지 장악하고 있다. 또 위기감을 느낀 여권 지지층의 결집도 기대 중이다.

배철호 리얼미터 수석전문위원은 “투표율이 낮으면 민주당이 조직력으로 마지막 뒤집기를 노릴 수 있고, 투표율이 높다면 여론조사 추세대로 국민의힘에 유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연구소장은 “사전투표제는 공간의 자유성과 편리함으로 젊은층이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며 “과거 젊은층은 민주당 성향 유권자가 많았고, 사전투표가 민주당에 유리했던 게 맞지만 이번 선거는 다르다”고 분석했다.

이상헌 김동우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