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만에 ‘정권 지원’서 ‘정권 심판’으로… 변수는 투표율

입력 2021-03-29 00:04
4·7 보궐선거를 열흘 앞둔 28일 서울 영등포구 당산역 사거리에 서울시장 후보들의 현수막이 걸려 있다. 시민들이 횡단보도 앞에서 신호를 기다리며 선거용 현수막을 보고 있다. 최현규 기자

4·7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최근 여론조사에 나타난 민심은 1년 전 우위에 있던 ‘정부 지원론’이 ‘정권 심판론(정부 견제론)’으로 가파르게 변화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4·15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에 압승을 안겨줬던 민심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를 비롯한 부동산 정책 문제 등의 영향을 받아 급변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민심 변화는 지난해 21대 총선과 올해 4·7 재보선을 각각 13일 앞두고 실시된 여론조사 결과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 한국갤럽이 지난해 3월 31일부터 4월 2일까지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부 지원을 위해 여당 다수 당선’(정부 지원)과 ‘정부 견제를 위해 야당 다수 당선’(정부 견제) 응답은 각각 47%, 37%였다. 정부 지원론이 10% 포인트 앞섰다.

그러나 약 1년 뒤인 지난 3월 23, 25일 진행된 같은 기관 여론조사 결과에선 정부 지원 33%, 정부 견제 57%로 나타났다. 격차는 24% 포인트였다. 보궐선거가 열리는 서울과 부산 지역에서도 정부 견제론이 지원론을 상당한 격차로 앞서 있었다. 서울에선 정부 지원 31%, 정부 견제 61%로 조사됐다. 부산·울산·경남에선 정부 지원 25%, 정부 견제 60%였다.

연령대별 지지 성향을 보면 결과는 더 뚜렷해진다. 1년 전 60대 이상을 제외하고 전 연령층에서 정부 지원론이 우세했지만 최근엔 40대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견제론이 우세했다. 무당층(62%)과 중도층(67%)에서 압도적인 견제론이 나타나는 점도 가파른 민심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


변화된 민심의 배경에는 박원순 전 시장 성비위 관련 2차 가해 문제 등으로 정의·공정 가치에 비교적 민감한 20대 표심이 이동한 것이 꼽힌다. 부동산 이슈에 관심도가 높은 30, 50대의 민심 이반도 상당했던 것으로 평가된다. 배철호 리얼미터 수석전문위원은 28일 “여야의 후보 지지율 하락에서 최근 급락을 보인 연령대는 30대와 50대”라며 “부동산 이슈 등에 따른 분노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남은 10일간 선거전의 변수는 양측의 세 결집과 투표율 등이 꼽힌다. 보궐선거일은 총선, 대선과 달리 휴일이 아니다. 투표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만큼 조직 표가 승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관계자는 “투표율은 높아야 40% 중반 정도일 것”이라며 “그렇다면 조직을 가진 민주당이 얼마든지 역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의원 109명 중 101명, 서울 25명 구청장 중 24명이 각각 민주당 소속이다.

국민의힘은 이미 민심이 확실하게 돌아섰다고 보고 ‘부동산 실정 심판론’으로 중도층 지지까지 확보하겠다는 태세다. 내부적으로는 말실수가 최대 변수라는 말도 나온다. 국민의힘 고위 관계자는 “과거 조직선거가 힘을 쓸 때도 서울 민심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움직였다. 분노한 민심만 잘 담아내면 승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택 박재현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