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른자위’ 땅이 된 광주 광산구 소촌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이전 문제가 난항을 겪고 있다. 빛그린 국가산단과 광산구 평동 3차 산단을 저울질하고 있으나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상황이다.
25일 광주시에 따르면 지난 2019년 1월 금호타이어와 ‘공장부지 도시계획변경 및 공장 이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이후 3년째 이전작업을 추진해왔으나 마땅한 부지가 없어 제자리 상태다.
최근 후보지로 급부상한 빛그린 국가산업단지의 경우 자동차 관련산업 집적화로 시너지 효과를 노릴 수 있지만 광주공장을 수용하기에는 공간이 부족한 점이 약점으로 꼽힌다.
차선책으로 거론되는 평동 3차 일반산업단지는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해제가 예정됐고 면적도 비교적 충분하지만 사업기간 장기화가 걸림돌이다. 평동 산단을 개발해 50만㎡ 규모로 예상하는 타이어 공장을 신축하려면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절차 등 최소 수년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개업 당시 한적한 외곽이었던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은 광주송정역이 지난 2015년 4월 KTX정차역으로 지정되고 인근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는 등 개발이 속속 이뤄지면서 역세권 금싸라기 땅이 됐다. 컨설팅회사 맥킨지앤드컴퍼니는 2019년 42만㎡에 달하는 현 광주공장 부지의 땅값을 1조9400억원이라고 평가한 바 있다.
금호타이어는 1960년 9월 광주 서구 양동에서 ‘삼양타이어’로 창업했다. 1974년 광산구 소촌동으로 확장 이전한 뒤 1978년 사명을 현재 명칭으로 바꿨다. 2018년 5월 중국 타이어 업체 ‘더블스타’에 매각됐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