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는 정부 정책 중 하나인 ‘사회적 가치 실현’을 충실히 이행하기 위해 일자리 창출, 동반 상생 협력 등을 전략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매출 및 수익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 소상공인,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KOGAS 코로나 상생협력패키지’를 시행해 약 2800억원의 효과를 창출했다.
상생협력패키지는 방역 지원, 유동성 지원, 매출 지원, 생계지원의 4개의 축으로 운영된다. 우선 방역 지원을 위해 코로나19 사태 초기 대구 지역 취약계층과 시민들에게 마스크 58만장과 생필품 등 총 17억원 규모의 현물을 선제적으로 지원했다.
중소기업 유동성 지원을 위해서는 기존에 운영 중인 동반성장펀드의 잔액을 조기 집행하고 400억원을 추가 출자, 총 1600억원의 기금을 활용해 중소기업에 긴급 대출을 지원했다. 또 계약불이행 지연 부과금, 계약보증금 면제, 기술이전 경상 기술료 감면 등을 통해 유동성 위기 극복을 지원했다. 소상공인 대상으로는 임직원의 급여 반납분 3억5000만원을 활용해 무담보·무이자·무보증 대출의 사회적 금융을 지원했다.
매출 지원을 위해서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계약을 조기 발주 및 우선 구매를 추진했다. 2억원 미만 소규모 계약의 최저낙찰률, 일반관리비, 이윤을 상향하고, 상생 발주 점검표 운영 등 제도를 개선해 지속적인 상생경영의 기반을 구축했다. 대구 지역 소상공인 등 17곳을 대상으로 네이버 스토어, 위메프 등 전자상거래 진출을 위한 비대면 신규 판로 개척도 지원했다.
매출 절벽인 소상공인과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의 생계 지원을 위해 두 차례에 걸쳐 도시가스요금 납기일을 3개월 연장했으며 연장된 도시가스요금은 6개월간 균등분할로 내게 해 취약계층의 부담을 최소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