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정 부인 땅 수상한 비료 포대… “비싼 땅에 농사? 허허!”

입력 2021-03-24 00:03 수정 2021-03-24 07:48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배우자가 소유한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토지에 비료 포대가 나란히 놓여 있다. 인근 주민들에 따르면 이 땅은 지난해엔 사용되지 않았으나 최근 이틀간 경작 준비를 시작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배우자가 소유한 경기도 남양주의 토지는 최근 경작 준비를 시작한 것처럼 보였다. 김 의원 측은 물류창고를 지어 노후 준비를 하려 했으나 비워두기 아까워 농사를 지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인근 부동산 공인중개사들은 ‘농사를 짓기에는 너무 비싼 땅’이라고 평가했다.

23일 국민일보가 방문한 김 의원 배우자 땅은 허허벌판에 비료 포대만 덩그러니 있었다. 30~40여 포대가 양쪽에 쌓여 있었고, 7개 정도는 일정 간격으로 땅 위에 놓여 있었다. 흙이 평평하게 정리돼 있었으나 지난해 경작한 흔적은 보이지 않았다.

땅 인근 주민들에 따르면 이 밭에서는 재작년까지 농사를 지었다고 한다. 하지만 지난해 김 의원 측에 팔린 후에는 방치돼 있었다고 했다. 주민 A씨는 “재작년까지는 콩도 심는 등 경작을 했는데 작년부터는 사용하지 않은 땅”이라고 했다. 주인이 찾지 않아 인근 주민들이 조금씩 농작물을 심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최근 경작 준비가 시작됐다. 복수의 주민들은 지난 21일 덤프트럭과 굴착기가 와서 흙을 뿌리고 땅을 다졌다고 전했다. 또 검은색 승용차를 타고 온 사람들이 작업을 감독하는 모습을 봤다고도 했다. 주민 B씨는 “그때 온 70대 남성에게 물어보니 ‘타산이 안 맞아 건물은 어렵고 농사를 지으려 한다’는 답을 들었다”고 말했다.

22일에는 비료 포대 100여개가 배달됐다. 땅 맞은편에 사는 C씨는 “아침에 일어나니 비료 포대가 무더기로 쌓여 있었다”고 말했다. 비료공급업체에 따르면 이 비료는 지난해 11월 읍사무소에 미리 신청해야 받을 수 있는 퇴비였다. 하지만 진접읍사무소 관계자는 “해당 농지에 등록된 경영인은 비료를 신청하지 않았다”면서 “다른 농민이 신청한 것을 받아온 것이라면 우리가 알 방법은 없다”고 했다.

김 의원 측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김 의원이) 노후 준비를 위해 물류창고를 지으려 했는데, 그전까지 땅을 비워놓기 아까워 농사를 지으려고 한 것”이라며 “(지난 21일에는) 고구마라도 심으려 흙을 부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비료는 도매상에서 샀다고 했다.

다만 농사를 짓다가 나중에 물류창고를 짓겠다는 김 의원 측의 해명에 공인중개사들은 의아하다는 반응이었다. 토지 인근 한 부동산 중개업소 대표는 “3기 신도시 발표 이후 땅값이 너무 오른 상태”라며 “물류창고로 쓰기에 수익성이 전혀 없는 토지”라고 평가했다. 다른 공인중개사 대표는 “지분 일부를 가진 것이라고 하지만, 합해서 40억원인 땅에 누가 농사를 짓느냐”고 반문했다.

전체 면적이 3540㎡인 이 땅은 지난해 7월 43억9000만원에 매매됐으며 지분 쪼개기 형식으로 5명이 공유하고 있다. 대법원 부동산등기부등본에 따르면 김 의원 배우자가 765㎡, 처남이 347㎡를 소유 중이다. 김 의원 측은 “(가족 땅은) 도로와 붙어 있지 않은 가운데 땅이라 시세가 더 저렴하다”며 “공동소유주는 전혀 모르는 사람”이라고 설명했다.

남양주=글·사진 강보현 이한결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