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20~30대 젊은이들은 정부로부터 받은 1400달러의 재난지원금 중 절반 가량을 주식투자에 사용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의 인플레 기대 심리 확산에 따른 채권 수익률 상승 우려도 아랑곳하지 않는 개인투자자들의 증시 투자 행렬이 어디까지 이어갈지 주목된다.
뉴욕타임스(NYT)는 23일 도이체방크의 최근 설문 조사결과를 인용, 미국인들은 1조9000억 달러의 경기 부양책 통과에 따라 재난지원금으로 받은 1400달러 가운데 40%(560달러) 가량을 주식 계좌에 넣겠다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총 1170억 달러(132조원)가 증시로 흘러드는 것이다. 특히 25~34세 젊은층은 절반가량을 주식에 투자하겠다고 응답했다.
재난지원금의 증시 투입이 주목을 끄는 것은 지난해 3월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직후 고꾸라진 주식시장을 떠받치는데 정부의 1차 재난지원금이 큰 힘을 발휘했기 때문이다.
JP모건은 지난해 4월 1인당 1200달러가 지급되자 전월 12.5% 하락했던 S&P500 지수는 12.7% 상승세로 돌아서는 등 지원금이 증시 부양에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신용평가사 피치에 따르면 그동안 미국 가계로 이전돼 코로나 사태로 줄어든 임금과 소득을 벌충하고도 남은 정부 지원금 규모는 8000억 달러에 달한다.
여기에 사회적 거리두기로 위축된 소비 대신 주식투자에 몰입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10%선에 머물던 개인투자자들의 증시 참여 비중이 25%로 늘었다.
이런 분위기에 힘입어 S&P500은 현재 지난해 3월 최저점 대비 80%나 회복됐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09년 3월 S&P500지수가 57%나 떨어진 이후 회복되는데 4년이 걸린 것과 대조된다.
정부가 채권을 발행해 달러를 찍어 조성한 1인당 총 3200달러의 재난지원금의 상당액이 실물경제 대신 증시로 투입돼 ‘버블’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바이든 정부는 3조달러 규모의 2가지 인프라 패키지까지 추가로 마련하고 있어 가뜩이나 달아오르고 있는 인플레 심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초미의 관심사다.
새 패키지는 공격적인 지출을 바탕으로 바이든 대통령의 경제 공약을 실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번째 법안은 제조업 투자를 지원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소배출을 줄인다는 목표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사회기반시설 개선, 청정에너지 구축, 5G 통신, 광대역 구축 등 ‘미래의 고도 성장 산업’ 개발에 초점을 맞췄다.
다른 법안은 진보 진영이 ‘인적 인프라’라고 부르는 정책으로 무료 커뮤니티 칼리지(2년제 지역대학), 국가 유급휴가 프로그램, 육아비용 절감 정책 등을 지원한다.
민주당은 현재 21%인 법인세율과 고소득층의 소득세 인상을 통한 재원 마련 구상을 하고 있다. 그러나 공화당이 반대하고 있어 여의치 않을 경우 채권 발행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채권시장 압력이 더욱 거세질 수밖에 없는 셈이다.
이동훈 금융전문기자 d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