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중·러 밀착, 북핵 해결 노력 후퇴는 안 된다

입력 2021-03-24 04:03
미국과 중국의 지난 18~19일 ‘알래스카 난타전’ 이후 북한과 중국, 러시아가 본격적으로 밀착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2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구두 친서를 통해 양국 관계를 견고히 하겠다는 뜻을 교환했고, 같은 날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이 중국을 방문해 양국 최고위급 접촉 방안을 논의했다.

북·중·러의 밀착은 전통적 동맹 관계를 복원해 중국을 견제하겠다는 미 행정부의 새로운 외교 전략에 따른 반사적 움직임이다. 그러나 우리로서는 3국 밀월이 심화하면서 북한 핵 문제 해결 노력이 후퇴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가질 수밖에 없다. 중국과 러시아는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통해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지향한다는 대원칙에서 이탈해서는 안 될 것이다.

북한의 핵 보유는 실상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러에도 잠재적 위협이 된다. 북한의 역성을 들어주느라 북핵 문제를 소홀히 하는 것은 두 나라의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특히 북핵 해결이 장기 공전하고 북 핵무장이 기정사실화하면 한국에서도 대응 무력을 보유해야 한다는 여론이 커질 수밖에 없다. 한반도가 핵무기 대치의 장으로 바뀌는 것은 중·러에도 최악의 상황이 될 것이다.

외교 당국은 이런 우려를 양국에 충분히 전달하고 북핵 문제의 조속하고 평화적인 해결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때마침 라브로프 장관이 방한했고, 29일엔 알렉산드르 포민 러시아 국방차관이 전략대화를 위해 한국을 찾는다. 우리 당국은 러시아와 중국이 북핵 6자회담 구성국인 사실을 상기시키고 북핵의 완전한 해결을 위한 국제 공조에 차질이 없도록 설득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빠른 속도로 구체화하고 있는 신냉전 구도가 외교·안보 및 통상에 미칠 영향을 치밀하게 분석하고 국익 극대화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