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명에 땅을 산 대통령경호처 4급 직원의 형이 과거 한국토지주택공사(LH) 전북지역본부에서 5년 이상 근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호처 직원은 자신의 형제 2명, 형수 1명과 함께 땅을 샀는데 당시 형수의 주소도 전주에 있었다.
국민일보 취재팀이 21일 등기부등본 분석 등을 통해 경호처 직원 형의 LH 근무 이력을 취재한 결과 형 O씨는 2009년 10월 전북지역본부에서 근무했으며 2012년 3월 조경직 3급으로 승진했다. 2015년 인사이동으로 세종특별본부로 옮긴 뒤 지금은 LH 본부에서 근무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최소 5년간 전북에서 근무한 것이다.
경호처 직원의 형수이자 O씨의 아내도 2017년 9월 땅 매입 당시 전주 △△아파트로 주소지를 기록했다. △△아파트는 광명 원정 투기 의혹에 연루된 LH 현직 직원 M씨가 살고 있는 곳이다. M씨는 경찰 수사 대상에 올라 있다. 광명 노온사동에 땅을 산 의사 가족들도 △△아파트에 살고 있다.
경호처 직원은 이날 경기도의 자택 앞에서 취재팀과 마주쳤지만 토지 매입 경위 등을 묻는 질문에는 “할 말이 없다”며 답변을 거부했다. 그가 형제, 형수와 매입한 광명 노온사동의 임야(1888㎡) 현장에는 최근까지 사람의 손길이 닿은 흔적이 남아 있었다. 작물을 심은 뒤 검은 비닐로 덮어둔 곳이 있었고, 트랙터 등을 이용해 땅을 간 흔적도 보였다. 인근에서 농사를 짓는 A씨는 “2017년에 이 땅을 사려고 준비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외지인이 들어와 팔렸다는 소식을 뒤늦게 들었다”며 “계절마다 한 번씩 와서 파종을 하고 비료를 뿌리고 가는 걸 봤다”고 말했다.
경호처 직원의 3기 신도시 토지 매입 배경에도 전주가 등장함에 따라 원정투기 의혹은 더욱 증폭되는 모양새다. 취재팀이 2017년부터 2021년 2월까지 광명 노온사동에서 소유주가 바뀐 등기부등본을 130여건 추가로 분석한 결과 전주 주민이 땅을 산 사례가 4건 더 확인됐다(국민일보 3월 17일자 1·3면 참조). 지금까지 광명에 땅을 산 것으로 확인된 전주 주민은 42명이다. 이들이 산 노온사동 땅의 규모는 5만7890㎡(약 1만7500평)이고, 총 거래금액은 약 157억원이다.
경찰은 전주발 투기 의혹을 수사하기 위해 지난 19일 LH 현직 직원 김모씨 등 2명을 소환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LH 광주전남지역본부에 근무 중인 김씨는 2018년 퇴직 직원 등 5명과 함께 노온사동 토지를 구입했다. 경찰은 김씨와 함께 해당 필지를 구입한 전직 직원의 자택도 압수수색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경호처 직원에 관한 자료를 정부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에 전달할 예정이다.
한편 특수본은 지난 주말부터 땅 투기 의혹을 받는 피의자 소환조사를 이어갔다. 경기북부경찰청은 이날 포천시 공무원 B씨를 부패방지법 위반 혐의로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도시철도 연장사업 업무를 맡았던 B씨는 40억원의 대출을 받아 철도역 예정지 인근 토지와 건물을 매입, 투기한 혐의를 받고 있다. 지난주 압수물 분석을 대부분 마무리하고 LH 직원 3명을 소환조사한 경기남부경찰청은 최초 고발된 나머지 직원과 출석일정을 조율한 뒤 소환조사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2차 전수조사 결과와 관련해 특수본 관계자는 “현재 넘어온 자료를 검토하고 있고, 조만간 관할지 등을 고려해 사건을 배당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권중혁 방극렬 정현수 황윤태 기자 green@kmib.co.kr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