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닷새 연속 400명대를 이어가면서 사실상 ‘주말 효과’도 무색해졌다.
현재 유행 상황이 방역에 적신호라는 지적도 1주일째 지속됐다. 하지만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대신 감염 위험이 커진 일부 시설에 대한 방역수칙을 강화하는 ‘핀셋 방역’ 전략을 이어가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1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456명 늘어 누적 확진자가 9만8665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통상적으로 주말에는 검사량 감소로 확진자가 덩달아 줄어들지만 이제 이런 주말 효과도 사라져 현재 방역 상황에 빨간불이 켜졌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지난 한 주(14~20일) 국내 일일 평균 신규 확진자는 415.9명으로 전주(428.3명)보다 소폭 감소했으나 감염경로 조사 중인 비율은 28.5%로 6.3% 포인트 증가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브리핑에서 “이 상태로 현재의 유행이 굳어지면 기저 숫자가 너무 높기 때문에 다시 유행이 재확산될 때 지나치게 많은 환자가 빠르게 급증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며 “지금보다 확진자 수를 좀 더 줄여야 유행을 안정적으로 통제하면서 새로운 거리두기 체계의 개편이나 예방접종의 안정적인 확대 등이 가능해지게 된다”고 말했다.
정부는 최근 목욕장업에서 감염이 확산되자 22일부터 특별방역대책을 적용키로 했다.
주거환경이 취약해 목욕탕 방문이 불가피한 취약계층, 목욕장업 관련 종사자의 생업을 위해 집합금지 조치는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대신 세신사, 이발사, 매점운영자, 관리점원 등 전국의 목욕장업 종사자에 대해서는 전수검사를 실시한다.
특히 확진자가 다수 발생한 경남 진주, 거제시는 집단감염이 종료될 때까지 격주 단위로 정기검사를 이어가기로 했다.
이외에도 목욕장 이용자는 출입 시 전자출입명부(QR체크인)를 작성해야 하고, 발열체크가 의무화된다. 평상 등 공용물품과 공용용기의 사용은 금지된다. 이용자와 종사자는 탈의실뿐만 아니라 목욕탕 내에서의 사적 대화도 해서는 안 된다. 목욕장 이용은 1시간 이내로 이용할 것을 강력히 권고했다. 월정액 목욕장 이용권인 일명 ‘달 목욕’은 신규 발급을 금지키로 했다.
지방자치단체는 봄철 관광객 증가에 따른 자체 대책도 마련했다.
제주도는 주요 행락지를 대상으로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마스크 착용, 거리두기 등 개인별 방역수칙 준수 여부를 집중점검한다.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