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미국 곳곳에서 ‘아시아계 미국인을 향한 증오를 멈추라’는 외침이 울려 퍼졌다. 한인 여성 4명을 포함해 8명의 목숨을 앗아간 애틀랜타 총격 참사 이후 아시아계 혐오 범죄 문제가 미국 사회 전면으로 부상하는 분위기다.
워싱턴포스트(WP) 등은 애틀랜타를 비롯해 뉴욕과 시카고, 피츠버그, 샌프란시스코 등에서 20일(현지시간) 이번 사건을 규탄하는 집회가 열렸다고 보도했다. 애틀랜타 주의회 의사당 인근에서 열린 집회에는 한인들을 포함한 시민과 활동가 등 수백명이 모였다. 이들은 “아시아계에 대한 증오를 멈춰라” “아시아인들은 바이러스가 아니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다.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열린 집회에는 한국계 여배우 샌드라 오가 깜짝 등장해 연사로 나섰다. 그는 “여기서 여러분과 함께하게 돼 정말 기쁘고 자랑스럽다”며 “아시아인이라는 것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또 “지역사회에 있는 많은 사람에게 우리가 두려움과 분노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우리는 자매와 형제들에게 손을 내밀어 ‘도와 달라’고 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에 거주하는 아시아계 여성들은 인종차별만이 아니라 성적 대상으로 격하되는 이중 위험에 노출돼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AP통신은 미국에서 아시아 여성들을 성적 대상으로 보는 인식은 수세기에 걸쳐 있었다면서 “미군이 아시아 지역에 주둔하는 것도 영향을 미쳤다. 아시아 주둔 미군은 오랫동안 불법적인 성매매 논란을 야기했다”는 캘리포니아 버클리대의 한국계 일라인 김 명예교수의 분석을 전했다.
AP통신은 또 피의자 로버트 엘런 롱(21)이 범죄 동기로 ‘성 중독’을 주장했다고 경찰이 밝혔지만 아시아계 미국인들은 이런 설명에 대해 회의적이며 증오범죄 적용을 요구한다고 전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아시아계를 향한 증오 분위기가 코로나19 이후 급증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코로나19를 “중국 바이러스” “쿵푸 독감(Kung Flu)” 등으로 지칭한 이후 아시아계 혐오 해시태그가 급증했다고 NYT는 보도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