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오산시를 가로 지르는 오산천이 코로나19로 지칠대로 지친 시민들을 위로하는 힐링공간으로 거듭났다.
오산시는 2015년 ‘오산천 작은정원 프로젝트’를 시작해 2017년 5곳, 2018년 11곳, 2019년 23곳, 2020년 49곳의 작은 정원을 만들었다고 21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오산천 곳곳의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기 위해 시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작원정원을 조성하는 시민참여형 사업이다. 올해는 32곳의 정원을 추가로 조성할 예정으로, 모든 과정을 시민과 함께 한다. 조성된 작은정원은 시민단체에서 ‘정원 지킴이’가 돼 유지·관리한다.
이 사업은 “오산주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도시녹화사업이라면 주저하지 않고 추진하겠다”는 곽상욱 시장의 시정철학이 깊게 담긴 것이다. 곽 시장은 지방자치단체장으로는 드물게 2010년부터 계속 시정을 이끌어온 3선 시장이다. 오산천 수질개선과 함께 시민이 찾아와 즐길 수 있는 생태하천을 만들겠다는 일념으로 추진해 결실을 맺고 있다.
오산천은 1980년대까지만 해도 아이들이 물장구치고, 멱 감고 놀았던 추억의 장소였다. 그러나 급격한 산업화·도시화를 거치며 주변의 공장과 기업 등으로부터 흘러나온 오염수로 악취가 나는 5등급 하천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2010년 곽 시장은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오산천’을 테마로 다양한 생물이 공존할 수 있도록 생태하천복원사업을 시작했다. 오산천 살리기의 일관된 정책추진은 2019년 9월 오산천의 수질이 2등급으로 상향되는 성과를 냈다.
인근 지자체 설득도 병행했다. 오산지역의 오산천 구간만 개선한다고 수질이 좋아지는 게 아니어서 오산천으로 흘러들어오는 여러 지류에 대해서도 복원사업을 진행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노력은 천연기념물인 수달이 돌아오고, 가장천생태습지에는 멸종위기종인 금개구리가 나오는 등 놀라운 성과로 이어졌다. 원앙, 황조롱, 너구리, 새매, 노랑부리저어새와 241종의 식물 등 다양한 생물이 확인되고 있다.
오산천은 환경부 주관 ‘생태하천 복원사업 우수사례 콘테스트’에서 우수하천으로 2017년, 2018년 연속 선정됐다. 국토교통부 주관 ‘아름다운 우리강 탐방로 100선’에도 선정되기도 했다. 오산천 복원은 지자체와 시민사회, 기업에 이르기까지 민관 거버넌스가 만들어낸 대표적인 성공 사례라고 할 수 있다.
2022년에는 오산천에서 경기정원문화 박람회가 개최돼 ‘꽃과 정원이 흐르는 오산천’을 주제로 정원 작품을 전시할 예정이다.
특히 오산천에 수달이 돌아오면서 수달 서식지 복원을 위한 수달보호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경기남부 수계 멸종위기종 등 다양한 동·식물에 대한 전시 관람시설 및 체험형 환경교육을 통해 복합생태학습장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오산=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