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공직자 땅 투기’ 의혹에 대한 정부 조사가 계속되면서 투기 의혹으로 수사 대상에 오르는 공무원이 늘어나고 있다. 청와대는 19일 투기 의심을 받는 대통령경호처 과장급 1명을 대기발령하고 수사의뢰 했다고 밝혔다. 정부 합동조사단도 23명의 투기 의심 인물을 추가 적발해 수사의뢰 했다.
청와대는 행정관급 이하 전 직원과 배우자, 직계가족의 토지 거래 내역을 조사한 결과 대통령경호처 과장급(4급) 직원 한 명이 2017년 3기 신도시 광명 지역 토지를 매입한 사실이 확인돼 지난 16일 대기발령 조치했다고 밝혔다. 정만호 국민소통수석은 브리핑에서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근무하는 형을 둔 직원 1명이 2017년 9월쯤 형의 배우자 등 가족과 공동으로 3기 신도시 지역 토지 413㎡를 매입했다”고 말했다. 이 직원은 퇴직 후 부모님을 부양하기 위해 공동명의로 토지를 매입했다고 소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호처는 정부합동 특별수사본부(특수본)에 관련 자료를 전달할 예정이다. 정 수석은 “대통령 비서실과 국가안보실 관계자 중 공적 지위 또는 정보를 이용한 거래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신도시 및 인근 지역에서 3건의 부동산 거래가 있었으나 투기로는 의심되지 않는다는 것이 청와대의 설명이다.
정부합동조사단도 이날 2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최창원 국무1차장은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3기 신도시와 인접 지역에서 토지거래를 한 공무원과 공기업 직원 28명을 추가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23명은 투기가 의심돼 특수본에 수사의뢰 하기로 했다.
토지 거래가 추가로 확인된 이들은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23명과 지방공기업 직원 5명으로 모두 32필지를 소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32필지 가운데 18필지가 최근 2년 사이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1명은 4필지를, 6명은 2필지를 소유하는 등 한 사람이 여러 곳의 땅을 사들인 사례도 있었다.
토지거래 외에 공무원 및 공기업 직원 237명이 3기 신도시 인접 지역에서 아파트 등 주택거래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주택거래는 고양 창릉과 광명 시흥, 안산, 하남 지역에 집중됐다. 조사단은 조사대상 가운데 개인정보를 제출하지 않은 127명의 명단과 관련 자료를 특수본에 통보하기로 했다.
경찰은 투기 의혹을 받는 LH 직원에 대한 첫 소환조사를 진행했다. 경기남부경찰청 특별수사대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LH 직원들을 불러 조사했다. 소환된 LH 직원 중에는 2017년 1월부터 지난 1월까지 가족 및 지인과 함께 광명·시흥지구 일대 10필지를 구입한 강모(57)씨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강씨와 지인이 사들인 땅의 매입 대금은 64억원 이상인 것으로 전해졌다.
세종시청에서는 세종경찰청과 충남경찰청의 압수수색이 동시에 진행됐다. 세종경찰청은 세종 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예정지역에서 제기된 ‘벌집 주택’ 투기 의혹 관련 수사를 진행 중이다. 충남경찰청은 세종시 공무원 부동산 투기 사건과 함께 내사 중인 다른 세종시 공무원에 대한 강제수사에 돌입하면서 압수수색에 나섰다.
강보현 손재호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