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41년 만의 계엄군 사죄와 5·18 유족의 용서

입력 2021-03-19 04:02
지난 16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에서는 작지만 의미 있는 또 하나의 역사가 쓰였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에 투입됐던 특전사 부대원 A씨가 자신의 총격으로 숨진 박병현씨 묘소 앞에 무릎을 꿇고 참회의 술잔을 올렸다. 묘소를 찾기 직전 A씨는 유족과 만났다. 그는 “어떤 말로도 씻을 수 없는 아픔을 드려 죄송하다”며 큰절을 했다. 바닥에 엎드려 울먹이던 그는 “40여 년 동안 죄책감에 시달렸다”면서 “이제라도 유가족에게 용서를 구할 수 있어 다행”이라고 말했다.

박씨의 형인 종수씨는 “용기를 내줘서 고맙다. 동생을 이제라도 편히 보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 “죽은 동생을 다시 만났다는 마음으로 용서하고 싶다”고 밝혔다. 종수씨는 A씨에게 먼저 다가가 포옹했고 두 사람은 한참을 부둥켜안고 오열했다고 한다. A씨는 7공수특전여단 소속으로 1980년 5월 23일 광주 노대남제 저수지 부근을 정찰하다 젊은 남자 2명이 도망치는 것을 보고 총격을 가했다. 당시 25세이던 박씨는 농사일을 도우러 고향인 전남 장성으로 가다 참변을 당했다.

5·18 계엄군이 유족에게 직접 사죄한 것은 처음이다. 5·18 진상 규명 과정에서 가해 사실에 대한 계엄군들의 증언이 있기는 했다. 그러나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개인이 자행했던 가해를 피해당사자에게 구체적으로 털어놓고 사죄하는 일은 다른 문제다. 5·18 책임자에 대한 처벌이나 희생자에 대한 국가 보상과도 다른 차원의 일이다.

사과는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이른 때다. 사죄는 본인을 위해서뿐 아니라 피해자에게 용서할 기회를 준다는 점에서도 가상한 행동이다. 참회를 받아들이고 용서하는 것은 숭고한 행위다. 진정한 사죄와 용서, 화해는 죄책감과 상처를 치유해 나가는 아름다운 과정이다. 인간성에 대한 믿음을 고양하고 공동체 의식을 확산시킨다. 5·18진상조사위원회는 앞으로도 이런 자리를 적극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더 많은 참회와 용서가 비극의 현장 5·18묘역은 물론 가해와 피해가 양산되고 있는 우리 사회 곳곳에서 일어나기를 기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