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투기 의혹을 수사 중인 정부 합동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전선(戰線)을 넓혀가고 있다. 신도시 선정과정 전반을 살피기 위해 국토교통부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했고, 내·수사 대상자는 곧 200명을 넘길 전망이다. 특검 도입 논의에 당혹감을 느끼면서도 수사 성과로 역량을 증명하는 수밖에 없다는 게 경찰 내 분위기다.
특수본 산하 경기남부경찰청은 17일 국토부와 경남 진주 한국토지주택공사(LH) 본사 등 6개 장소에 대해 압수수색을 집행했다. 국토부는 공공기관인 LH 상급기관이자 신도시 선정 관련 주무 부처다. 이번 압수수색은 광명·시흥을 포함한 3기 신도시 선정 과정 전반을 살펴보기 위한 과정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국토부에서 신도시 지정 관련 사전정보가 유출됐을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된 만큼 더 일찍 국토부에 대한 강제수사에 나섰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날 압수수색 대상지에는 북시흥농협 본부와 지점 2곳도 포함됐다. 북시흥농협은 LH 직원들이 광명·시흥 신도시 지역 토지를 매입할 때 대출이 집중적으로 이뤄진 곳이다. 경찰은 대출이 적법하게 이뤄졌는지 확인하면서 토지 매입자금 흐름도 함께 들여다본다는 방침이다.
지난 3일 LH 현직 직원 13명과 함께 고발됐던 전직 직원 주거지에 대한 압수수색도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경남경찰청은 ‘꼬우면 (LH로) 이직하라’는 익명 게시글 수사와 관련해 ‘블라인드’ 운영사인 팀블라인드를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시도했다. 하지만 국내 사무실 소재를 확인하지 못해 압수물을 확보하지는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수본이 진행 중인 내·수사는 37건으로 늘었다. 대상자 수는 198명인데, 입건돼 수사를 받는 대상만 108명, 내사 대상자는 90명이다.
하지만 피의자 소환 등 수사가 본궤도에 오르기도 전에 여야가 특검 도입을 논의하고 나서면서 경찰 내부에선 불만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한 경찰 간부는 “특검이 수사 준비하는 데 시일이 소요될 수밖에 없어 증거인멸할 시간만 벌어주는 셈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창룡 경찰청장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특검에 대한 결정은 국회의 영역이고, 경찰은 이번 사건에 대해 대상과 분야를 가리지 않는다는 각오로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