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문사 유료부수 부풀리기 반드시 근절돼야 한다

입력 2021-03-18 04:02
신문 유료부수 부풀리기는 그동안 언론계에서 사실상 공공연히 묵인해온 악습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16일 발표한 부수인증기관 ABC협회에 대한 법인 사무 검사와 신문지국 인터뷰 결과는 예견된 것보다 훨씬 심각했다. 지국별 편차는 있으나 신문지국의 평균 유가율(발행부수 대비 유료부수 비율)은 62.99%, 평균 성실률(신문사가 협회에 보고한 유료부수에 대해 공사원이 실사를 통해 인증한 유료부수 비율)은 55.37%에 불과했다.

이는 협회의 부실하고 불투명한 부수 공사(실사) 과정 전반에 허점이 있었기 때문으로 드러났다. 협회와 신문사의 담합 정황도 일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사무 검사는 지난해 11월 부수 조작 의혹을 폭로한 ABC협회 내부 진정서가 접수되며 시작됐다. 문체부는 향후 공동 조사단을 구성해 오는 6월 말까지 현장 실사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장 실사 대상 신문지국 수도 30~50곳으로 대폭 늘려 부수 공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문체부는 이번 기회에 철저히 조사해 사실관계를 명확히 하고 개선 조치를 강구해 더 이상 부수 부풀리기 관행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신문사들도 자정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일부 지국에선 지금도 신문이 배달되자마자 뭉텅이로 폐지 처리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한다. 실제로 하루 수백만부의 무가지 배포로 연간 수천억원의 자원이 낭비되고 있는 게 엄연한 현실이다. 국민일보는 이런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미 수년 전부터 부수 부풀리기 관행을 없애기 위해 유가지만 발행하는 체제를 구축해왔다.

유료부수 부풀리기는 신문시장 왜곡으로 국민은 물론 정부 기관이나 기업을 속이는 반사회적 행위로 더 이상 용인돼서는 안 된다. 공익성을 추구하는 신문사들도 이제는 발행하자마자 폐기하는 허수 발행을 없애고 발행부수를 성실하게 신고해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에 앞장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