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수 감소폭이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완화 영향으로 ‘고용 쇼크’가 덮쳤던 1월의 절반 수준으로 축소됐다. 하지만 취업자 수 감소세가 외환위기 이후 최장 기간을 이어가고 있는데다 세금을 동원한 고령자 일자리가 큰 비중을 차지해 고용 상황이 여전히 위태롭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통계청은 ‘2월 고용동향’에서 취업자는 2636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7만3000명(-1.8%) 감소했다고 17일 밝혔다. 취업자는 지난해 3월부터 1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월부터 1999년 4월까지 16개월 연속 취업자가 감소한 이후 최장 기간이다.
다만 지난 1월(-98만2000명)에 비해서는 취업자 수 감소폭이 크게 완화됐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고용 동향 조사 기간(2월 14~20일) 중이었던 15일에 하향 조정된 영향이 있었다”며 “정부의 공공 일자리 사업이 시작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업종별로 보면 대면 서비스업에서 감소폭이 전월보다 완화됐다. 숙박 및 음식업 취업자 감소폭은 23만2000명으로 전월(36만7000명)에 비해 13만5000명 줄었고, 도매 및 서비스업 취업자 감소폭도 19만4000명으로 전월(21만8000명)에 비해 완화됐다. 대면 서비스업 고용이 회복되면서 임시·일용직 고용 감소폭도 지난달 39만7000명으로 전월(79만5000명) 대비 크게 개선됐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취업자가 지난 1월 1만5000명 감소에서 21만2000명 증가로 돌아선 것이 눈에 띄었다. 20대(-10만6000명), 30대(-23만8000명), 40대(-16만6000명), 50대(-13만9000명) 등 대부분 연령층에서 취업자가 감소한 점에 비춰 나랏돈을 풀어서 만든 ‘노인 일자리’가 고용 시장을 지탱한 셈이다. 정부 일자리 사업 관련 업종인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3만8000명 증가)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만1000명 증가)에서도 증가폭이 확대됐다.
고용 지표는 3월에도 좋아질 전망이다. 코로나19발(發) 고용 타격이 시작된 지난해 3월 취업자가 19만5000명 줄어든데 대한 기저효과 영향 때문이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페이스북에서 “코로나19 3차 확산으로 인한 고용시장의 어려움이 눈에 띄게 완화된 모습”이라고 자평하며 “백신접종 개시, 방역 거리두기 완화, 지난해 3월 고용 충격에 따른 기저 영향 등 감안 시 고용지표 개선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다만 세부적 지표로 보면 고용 상황은 여전히 암울하다. 지난달 고용률은 64.8%로 2014년 2월(64.6%) 이후 7년 만에 2월 기준 최저치를 기록했다. 실업자수 역시 135만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0만1000명(17.4%) 증가했다. 마찬가지로 2월 기준으로는 사상 최대치다. 특히 코로나 확진자 수가 여전히 하루 평균 300~400명대를 유지하는 등 코로나19 극복이 쉽지 않은 데다 재정이 투입된 단기 일자리 사업의 한계가 분명하다는 점도 향후 고용시장 전망을 불투명하게 만들고 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단순히 감소 폭이 줄었다고 경제부총리가 ‘고용시장의 어려움이 완화됐다’고 자평한 것은 안일하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