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발 공공 공급계획 차질 속 재건축 등 민간 정비사업은 활기

입력 2021-03-17 04:08
한국토지주택공사(LH) 땅투기 의혹이 번지면서 공공 공급계획이 차질을 빚는 반면 재건축 등 민간 정비사업은 활기를 띠고 있다. 실거주 의무 규제에 강화에 쫓긴 서울 주요 재건축 사업장이 지난해 말부터 조합설립에 성공하더니, 재건축 사업장을 중심으로 신고가도 이어지고 있다.

1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양천구 목동2단지 전용 97.92㎡ 아파트는 지난달 20일 20억4000만원(8층)에 거래됐다.

지난해 12월 거래된 금액 18억5250만원(15층)과 비교하면 2억원 가까이 올랐다. 목동 일대에서는 2차 정밀안전진단 결과 발표를 앞두고 신고가 거래가 속출하고 있다.

목동뿐 아니라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의 사업이 진척되고 있다. 특히 사업 진행이 더뎠던 압구정동 6개 정비구역 가운데 4개 구역(현대 8차, 한양 3·4·6차)은 지난달 처음으로 재건축조합 설립 인가를 받았다.

정부가 6·17대책에서 투기과열지구 내 재건축 조합원의 경우 분양신청 전까지 2년 이상 실거주해야 분양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하면서 조합설립에 속도가 붙었다는 지적이다.

주요 재건축 단지의 집값은 여전히 상승세다. 거래가 급격히 줄어든 데다 LH 땅투기 논란으로 한 치 앞을 바라보기 어려워진 시장 상황과는 대비된다.

한국부동산원 3월 8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매매가격 변동률에 따르면 거래가 급격히 줄어든 상황에서도 강남구와 서초구는 각각 0.05%, 송파구와 강동구는 0.04%를 기록했다.

부동산원은 “강남구는 도곡·대치동 신축 위주로, 서초구는 서초·방배동 재건축 위주로, 송파구는 거여·가락동 위주로, 강동구는 둔촌동 등 정비사업 인근지역 위주로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