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통 시장이 격변기를 맞고 있다. 쿠팡이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성공적으로 데뷔하면서다. 쿠팡처럼 상장을 추진하거나 이종업계와의 합종연횡을 꾀하거나 인수·합병(M&A)으로 몸집을 키우려는 움직임이 뜨겁다.
14일 유통·이커머스 업계에 따르면 쿠팡 발(發) 업계 재편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쿠팡이 미 증시 상장으로 5조원대 자본을 확보하면서 공격적인 투자와 마케팅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다른 기업들도 안정적인 재원 확보와 과감한 투자로 시장 재편에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마켓컬리, 티몬 등은 상장으로 돌파구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증시 상장 가능성에 선을 그어왔던 마켓컬리는 올해 안에 상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마켓컬리를 8억8000만달러(약 1조원)의 가치를 가진 기업이라고 소개했다. 티몬은 지난해 말부터 올 하반기에 국내 증시 상장을 목표로 뛰고 있다.
아마존의 지분 투자를 받은 11번가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SSG닷컴의 상장 추진도 거론된다. 늦어도 2023년까지는 상장을 추진한다고 밝혔던 11번가는 환경이 급변하면서 추진 시기를 앞당길 가능성이 커졌다.
오프라인을 넘어 온라인으로까지 확장해 나가고 있는 CJ올리브영은 2022년 상장을 위해 최근 프리 IPO에 성공했다. 올리브영 몸값은 1조8000억원 정도로 매겨졌다.
유통·IT 공룡들은 합종연횡과 M&A로 돌파구 마련에 나섰다. 이마트와 네이버는 지난달 말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과 이해진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만나 협력을 논의했다. 이커머스 시장 점유율 1위인 네이버(17%)와 오프라인 1위인 이마트가 손을 잡으면 강력한 시너지를 낼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2000억원대 지분 맞교환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롯데는 매물로 나온 이베이코리아 인수전에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G마켓과 옥션을 운영하는 이베이코리아는 지난해 업계 3위(12%)였고, 이커머스 업계에서 유일한 흑자 기업이다. 이베이코리아 인수전에는 쇼핑 분야가 약한 카카오도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서는 이베이코리아 인수전은 롯데그룹과 카카오의 경쟁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5조원대 매물인 이베이코리아가 M&A 시장에 나왔을 무렵 ‘너무 비싸서 살 만한 기업이 없다’는 게 중론이었으나 쿠팡의 성공적 상장으로 상황이 달라졌다”며 “이베이코리아를 누가 가져가느냐에 따라 시장 순위가 급격히 뒤바뀔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