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수본 “투기 의혹 100여명 내·수사”… 공무원·민간인도 포함

입력 2021-03-13 04:07

신도시 부동산 투기 의혹을 수사 중인 ‘정부합동 특별수사본부(합수본)’가 내사 또는 수사 중인 대상이 10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발이나 수사의뢰된 사안 외에 합수본이 자체 수집 중인 첩보가 쌓이면서 내·수사로 전환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합수본은 의혹의 진원지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뿐 아니라 공무원, 민간인까지 가리지 않고 범죄 혐의점을 찾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고위 관계자는 12일 기자들과 만나 “현재 내사 또는 수사 중인 사건은 16건으로 경기남부경찰청 등에 고발된 사건이 6건이고, 나머지 10건은 합수본이 자체적으로 첩보를 인지해 진행 중인 사안”이라고 밝혔다. 수사가 확대되면서 투기 의혹 대상자도 100여명으로 늘었다. 앞서 시민단체 의혹 제기와 정부 1차 전수조사에서 드러난 의심 사례가 LH 전·현 직원 22명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합수본이 직접 인지해 내·수사로 전환된 사례가 더 많은 셈이다.

내·수사 대상자 100여명에는 LH 직원뿐 아니라 지자체 공무원, 민간인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아직 의혹이 제기된 단계라 범죄 혐의가 있는지 특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특히 민간인에 대해서도 신도시 지정 관련 내부 정보를 사전에 입수해 부동산을 매매한 정황이 드러날 경우 이를 유출한 사람과 공범으로 보고 수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날 문재인 대통령이 수사확대 지시까지 내린 만큼 향후 합수본의 수사 범위는 급격하게 확대될 전망이다. 합수본은 전국 개발지역에서 우후죽순 제기되는 투기 의혹 제보를 신속히 확보하기 위해 15일부터 신고센터를 운영한다. 의혹이 제기된 부동산 거래는 매입자금 출처 추적을 병행해 차명투기 정황까지 잡아낸다는 계획이다.

합수본 수사가 속도를 내는 가운데 LH 고위 간부 A씨가 경기도 분당의 한 아파트에서 투신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2018~2019년 LH 전북본부장으로 근무했던 A씨는 ‘지역 책임자로서 책임을 통감한다. 국민들께 죄송하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A씨는 합수본이 현재 진행 중인 수사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현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