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부동산업자 “묫자리 아니라면… 개발 기대 없으면 절대 사지 않을 땅”

입력 2021-03-12 04:05
경기도 시흥시 3기 신도시 인근 투기 의혹을 받고 있는 김경만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배우자가 산 것으로 알려진 임야 현장. 바로 옆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건설 중인 임대 아파트가 보인다. 시흥=최현규 기자

‘신도시 사전투자 의혹’이 전방위로 확산되는 가운데 김경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배우자가 구입했던 경기도 시흥시 임야를 서둘러 처분하려 한 움직임이 포착됐다. 경기 화성시 택지개발지구 인근 땅을 구입한 양향자 민주당 의원 소유 임야에 대해 인근 부동산 업자들은 “일반인이라면 절대 사지 않을 땅”이라고 평가했다.

11일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김 의원실 관계자는 이날 오전 시흥 장현지구 일대 부동산 중개업소들에 전화를 걸어 지분 매각을 의뢰했다. 의원실 관계자의 전화를 받은 한 중개업소 대표는 “의원실 관계자가 ‘장현동 임야 2곳을 빨리 매각하고 싶은데 방법이 없겠느냐’고 물어와 ‘필지 자체의 가치가 떨어지니 차라리 기부채납을 하라고 답했다”고 전했다.

이날 둘러본 김 의원 배우자의 임야 두 곳은 모두 아파트 단지와 조금 떨어져 있었다. 김 의원 부인이 2016년 지분 66㎡(20평)를 취득한 7402㎡짜리 임야는 106명이 공동 소유한 필지로 수풀이 우거져 전혀 관리가 안 된 모습이었다. 건너편에는 LH 아파트 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었다. 동네 주민은 “개발지구에 포함됐다가 지금은 보상 계획도 없어진 땅”이라고 말했다.

48명이 지분을 나눠 가진 다른 필지 역시 비슷했다. 인근 중개업소 대표는 “(김 의원 부인의) 매입 시점이 보상 시점보다 조금 늦은 편”이라면서도 “땅값이든 아파트값이든 매입 시점에 비해서는 배 이상 올랐다”고 설명했다.

양 의원이 2015년 구입한 화성시 땅에 대해 인근 공인중개사들은 ‘전원주택을 짓고 노후를 대비하려고 샀다’는 해명에 의아해했다. 공인중개사 A씨는 “공공개발만 가능한 지역이라 일반 시민이면 절대 사지 않을 곳”이라며 “용도 자체가 공익용 산지라 나무 수종도 제한하는 곳이어서 민간이 절대 개발할 수 없는 땅”이라고 했다.

실거주용으로도 불가능하다는 게 업자들의 설명이다. 다른 중개업소 B대표는 “묫자리를 본 게 아니라면 설명이 안 된다”고 잘라 말했다. 실제 취재진이 찾아본 양 의원의 땅은 도로와 연결돼 있지 않은 ‘맹지’였다. LH가 택지를 조성하고 있는 비봉지구와의 도보 10분 정도로 거리상으로 멀지 않았지만 진입하기 쉽지 않았다. 양 의원의 땅에는 2m 간격으로 나무가 심겨 있었지만 바로 옆은 묘지였다. B대표는 “지역 개발 수혜를 받아 땅값이 오를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 이상 이런 땅을 누가 사겠느냐”고 반문했다.

시흥·화성=강보현 황윤태 기자 bob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