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전 투기 의혹’이 불거진 3기 신도시 광명·시흥지구에 있는 광명시청 공무원 A씨(56)의 임야는 10일 중장비로 긁어놓은 것처럼 황량한 상태였다. 경작한 흔적은 없었다.
A씨의 임야는 얕은 산 중턱에 난 비포장 도로를 접하고 있었다. A씨 땅 뒤로는 인위적으로 관리한 흔적이 없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A씨 땅은 산을 깎아 평지로 만든 것처럼 보였다. 광명시는 A씨가 지난해 이 토지를 산 뒤 불법으로 형질을 변경했다고 밝혔다. 다만 LH 직원이 매입한 토지처럼 묘목이 심겨 있지는 않았다.
국민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시청 6급 공무원인 A씨는 지난해 7월 광명시 가학동의 임야 793㎡를 4억3000만원에 구입했다. 20, 30대 자녀 2명을 포함한 가족 4명이 각각 4분의 1씩 지분을 나눠 가졌다. 정부는 A씨 토지 매입 후 7개월 만인 지난 2월 이 지역을 3기 신도시로 발표했다.
A씨 땅 인근에 가족묘를 조성한 한 주민은 “(A씨 땅은) 원래 잡목이 무성한 곳이었는데 최근 갑자기 벌목이 이뤄졌다”고 전했다. 다른 주민은 “지난해 여름부터 처음 보는 사람들이 주변을 오가면서 술렁거리기 시작했다”며 “이쪽에 새 도로가 들어올 예정인데 (A씨 땅이 있는) 도로 아래쪽은 땅 값이 2배 정도 비싸다”고 설명했다.
광명시청 공무원 B씨(32)씨가 2019년 1월 취득한 100㎡ 땅에는 2층 건물이 세워져 있었다. 비교적 최근 지어진 건물로 보이지만 상가나 주거용으로 쓰인 흔적은 보이지 않았다. 문은 굳게 닫혀 있었고 1층에는 가재도구가 어지럽게 흩어져 있었다. B씨는 가족으로 추정되는 C씨(28)씨와 함께 증여받았다. B씨에게 증여한 김모(61)씨는 1996년 3월 이 땅을 매입한 것으로 보인다.
동네 주민은 “B씨 아버지가 오랫동안 이 동네에 살았다”면서도 “지난해 새 건물을 세웠는데, 금방 완공될 것 같았는데 공사를 꽤 오랫동안 해서 이상하게 생각했다”고 전했다.
퇴직 후 농사를 지을 생각으로 땅을 샀고, 실제 농사를 지어 왔다며 투기 의혹에 억울함을 호소한 공무원도 있었다. 지난해 노온사동에 밭 1322㎡를 취득한 D주무관(54)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정년이 4년 남아 농사를 지으려고 땅을 샀다”면서 “지난해에는 배추와 고추를 실제로 경작했고, 지난주에도 퇴비를 주고 밭을 갈았다”고 말했다. 이어 “투기하려 했으면 나무 심어놓고 창고를 지어놨지 농기구를 가져다 놓았겠느냐”고 반문했다.
다만 인근 주민과 부동산 업계 관계자들은 지자체 공무원들의 투기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분위기다. 광명시의 한 공인중개사는 “임야로 분류된 땅을 밭 시세로 사는 사람들은 대부분 기획부동산인 경우가 많다”면서 “지자체 공무원은 형질변경을 할 수 있어 기획부동산에 얽히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말했다.
광명=황윤태 이한결 임송수 기자 truly@kmib.co.kr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