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 투자심리가 위축된 상황 속에서도 지난해 서울시의 외국인직접투자(FDI)가 2년 연속 100억 달러를 돌파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K-방역에 따른 안정적인 투자처 인식 등 코로나 사태가 기회가 됐다는 분석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신고된 외국인직접투자가 102억 달러로 최종 집계됐다고 10일 밝혔다.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FDI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전년 대비 42% 급감한 8500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15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반면 서울시의 FDI는 기존 역대 기록인 2019년 101억 달러를 상회하며 최고 기록을 다시 썼다. 2017년 이후 4년 연속 상승세다.
지난해 서울의 FDI가 증가한 주요인은 금융·보험업 등 서비스업 분야 약진, 미주지역의 투자 확대, 신산업 분야의 투자 증가라고 서울시는 분석했다. 서울의 주력 투자유치 업종인 서비스업 분야의 2020년 FDI는 전년대비 17% 증가한 94억8000달러로, 이 중 금융·보험업이 약 60%를 차지했다. 특히 미주 지역의 경우 전년대비 99% 늘어난 43억 8000달러를 신고해 투자 확대가 두드러진다. 미주 지역의 투자 증가는 K-방역에 따른 안정적인 투자처 인식, 광범위한 자유무역협정(FTA) 네트워크, 높은 대외신용도 등의 긍정 요인이 가시화 된 것으로 분석된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본격적인 산업구조 개편으로 정보통신, 연구개발 등 신산업 분야 FDI는 2019년 52억 달러 대비 40% 증가한 73억 달러를 기록했다.
투자 유형도 변화했다. ‘M&A(인수·합병)형’ 투자는 2019년 대비 82% 대폭 감소하며 6.1억 달러에 그친 반면 ‘그린필드형’ 투자는 34% 증가한 85억 달러를 기록했다. 기존의 그린필드형 투자가 용지를 직접 매입하고 사업장이나 공장을 새로 설립하는 방식이었다면 최근의 그린필드형 투자는 해외 벤처캐피털(VC)이나 금융기업을 통해 글로벌펀드를 조성하거나 기업에 직접 투자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서울시는 올해 FDI 확대로 서울의 유망 스타트업이 규모를 키울 수 있도록 최대 5000만원 고용보조금 지원, 유망 기업 해외박람회 참가 지원 등 다각적인 방안을 통해 속도감 있는 투자유치 활동을 전개해나갈 계획이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
서울, 지난해 외국인직접투자 102억 달러 역대 최대
입력 2021-03-11 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