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경북·강원 ‘환동해 경제권’ 발전 청사진 나왔다

입력 2021-03-11 04:05
경북도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 공청회. 경북도 제공

울산시·경북도·강원도가 오는 2030년 환동해 경제권의 중심축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에 나섰다.

울산시는 10일 시의회 3층 대강당에서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 공청회’를 개최했다.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은 해안내륙발전법 유효기간이 지난해 말에서 오는 2030년으로 연장됨에 따라 지난 2016년 1차로 변경한 종합계획을 바탕으로 2030년 동해안권 발전전략과 사업을 재설정하고 동해안권의 상생 발전과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발전계획 수립은 대구경북연구원과 울산·강원연구원이 공동으로 참여해 동해안에 연접한 울산·경북·강원 등 3개 시·도 내 15개 시·군·구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했다.

기본방향은 정부 정책방향과의 정합성·동해안권 위상과 기능 강화 등이다. 미래 키워드인 환동해시대·지속가능성·융합·혁신성장·균형발전 등을 고려하여 동해안 3개 시·도는 2030년까지 새로운 비전으로 ‘지속가능한 환동해 블루 파워벨트’를 설정했다.

전략별 사업을 보면 에너지 산업의 성장 동력화를 위해 미래 수소 경제 생태계 구축,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조성, 울산에너지 융·복합단지 조성 등이 추진된다.

글로벌 신관광허브 구축사업으로는 동해안을 잇는 7번국도 블루로드와 해안 둘레길 조성, 자전거 도로를 이용한 관광벨트 마련 등이, 산업 고도화와 신산업 육성사업으로는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구축, 자율주행 스마트 도로 기반 구축, 게놈규제 자유특구 지정 등이 제시됐다.

환동해권 소통 연계 기반 확충을 위해서는 울산항, 동해신항, 영일만항 개발사업 등이 추진될 예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에서 출발하는 이번 계획 변경안을 바탕으로 단계별 사업이 추진되면 2030년에는 동해안 남부권 중심에서 울산·경북·강원 중심으로 성장거점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대외적으로는 중국, 아시아, 일본 등 환동해 경제권의 중심축으로 성장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동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은 공청회 이후 3개 시·도간 협의와 최종보고회를 거쳐 국토정책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면 국토교통부가 최종 결정고시하게 된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