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내려놓고 대권올인 이낙연, ‘역전 발판’ 재보선 총력전

입력 2021-03-10 04:01
이낙연(오른쪽)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9일 국회에서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에게 공천장을 수여하고 있다. 이날 당대표직에서 물러난 이 대표는 “문재인정부 성공과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 저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권현구 기자

192일의 임기를 마친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우선은 4·7 재보궐선거에서 승리하겠다”며 본격적인 대권 행보에 돌입했다. 대선주자로서 사활을 건 첫번째 무대인 4월 선거를 앞두고 이 대표는 “모든 것을 걸고 싸우겠다”며 총력전을 선언했다.

이 대표는 9일 국회에서 퇴임 기자간담회를 열고 서울시장 보선에 대해 “짧은 임기동안 정부와 매번 싸우는 정권심판론자들에게 주민의 생활을 맡기는 게 현명한가. 아니면 정부와 협력하고 주민들의 삶이나 서울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길을 선택할 지 국민들이 현명한 판단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선거 결과에 따라 대권주자로서의 성패가 결정되는 만큼 이 대표가 선거 승리의 의미를 강조한 것이다.

부산시장 보선의 핵심 이슈인 가덕도신공항 특별법 졸속입법 논란도 적극 반박했다. 이 대표는 “2030년 부산 엑스포를 유치하려면 번듯한 국제공항이 있어야 한다는 건 상식이다. 국제공항을 가지려면 시간이 그리 넉넉치않다”고 강조했다. 이어 “(당 대표) 임기가 짧으니까 아무것도 하지 말고 그냥 가자고 하면 2030년 유치하기가 더 힘들어진다는 것을 부산시민도 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야권의 경쟁주자로 자리매김한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그는 “그 분을 잘 모른다. 검찰총장 임명 당시 총리실에 인사하러 왔던게 전부”라고 했다. 자신의 지지율 하락세를 두고는 “저의 부족함, 정치의 어려움 때문”이라고 몸을 낮췄다.

이 대표는 2022년 대선의 시대정신으로 신복지와 혁신성장을 제시했다. 그는 “사람들의 삶이 불안정해지는 큰 전환기에서 국민의 삶을 어떻게 보호할지가 시대의 과제”라며 “신복지와 혁신성장이 시대정신”이라고 말했다. 이재명 경기지사가 ‘기본소득’으로 의제를 선점한만큼 이 대표는 ‘신복지제도’를 강조하며 차별화를 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자신의 신복지제도가 이 지사와의 기본소득과는 다르다며 향후 대권주자들 간 정책경쟁이 치열해질 것임을 시사했다. 이 대표는 “신복지제도는 국가가 보장할 최저기준과 국민이 지향할 적정기준을 담은 종합적 복지제도이고, 기본소득은 그 중 소득 부분을 모든 국민에게 보전해드리자는 제도”라며 “두 제도를 단순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했다.

임기 중 최대 성과로는 ‘입법’을 첫 순위로 꼽았다. 이 대표는 검찰개혁, 법관탄핵 등이 강성 일변도로 흐른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강성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422건 중 3건에 대해서만 야당이 필리버스터를 신청했다”고 했다. 인적기반 확대에 대해서는 “왜 (대선 준비) 도와달라고 하지 않느냐는 말을 많이 들었다”라며 “개인적 기반 확대를 위한 활동은 일부러 자제했다”고 했다.

이 대표는 사퇴 이후에도 상임선대위원장, 가덕도특위 위원장을 맡아 당 전면에 설 예정이다. 민주당 당헌은 당 대표나 최고위원이 대선에 출마하려면 대선일 1년 전까지 사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