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경제의 동력원인 수소를 둘러싼 친환경 논란에는 명확한 해법이 있다. 생산 과정에서 유해물질 배출이 전혀 없는 ‘그린수소’를 추구하면 된다. 유럽 등 수소에 투자하는 국가들이 최우선적으로 개발에 나서는 분야이기도 하다. 수소차·수소연료전지 발전소와 같은 수소 경제 달성을 위한 ‘성공 방정식’의 핵심으로 보는 것이다. 한국 역시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그린수소 개발·보급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현재 활용 비중이 0%인 그린수소를 2050년까지 80%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린수소란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에서 얻은 전력으로 물을 전기분해하는 시설인 수전해 설비를 통해 생산하는 수소를 말한다. 석유화학제품 공정에서 나오는 ‘부생수소’나 액화천연가스(LNG)에 열을 가해 추출하는 ‘개질수소’와 달리 미세먼지나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다. 미국 수소자동차 플랫폼 기업인 니콜라도 그린수소를 사업 모델 중 하나로 잡고 있다.
태양광·풍력에서 얻은 전력으로 굳이 수소를 생산할 필요가 있냐는 반론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재생에너지의 특성을 고려하면 우문이다. 낮 시간대 등 특정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생산되는 태양광 등은 밤 시간대에 직접 전력을 공급하기가 쉽지 않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를 통해 잉여 전력을 보관하는 방법이 있지만 장기간 보관이 어렵다. 수소로 변환해 두면 이 문제가 해결된다. 향후 전기로 변환해도 되고 수소차의 연료로 활용해도 된다.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회장은 “유럽에서 수소를 에너지 전환을 위한 조력자(Enabler)로 보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관건은 생산비를 줄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다. 현재로선 재생에너지를 수소로 치환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재생에너지보다 값이 비싸다. 경제성을 맞추기 위해 정부가 첫 삽을 떴다. 500㎾, 2㎿, 3㎿급 수전해 설비 실증 사업이 진행 중이다. 2023년에는 대규모 시설인 100㎿급 수전해 설비 개발에 나선다. 2조4000억원의 예산을 들일 예정이다.
민간 에너지 업계도 투자에 나섰다. 향후 신사업 모델이 될 거라고 평가하는 것이다. 그린수소 개발 관련 대표적인 국내 기업으로는 포스코와 한화가 꼽힌다. 포스코는 지난 2일 열린 ‘3차 수소경제위원회’를 통해 해외 그린수소 도입 등에 1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한화 역시 그린수소 연구개발(R&D) 및 실증, 생산 등에 1조3000억원 투자를 약속했다.
다만 기술 개발 이후에도 그린수소 수요를 국내에서 모두 충당하기는 힘들다는 게 전반적인 평가다. 재생에너지 설비가 부족하다는 한계를 봤을 때 일정 부분은 수입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이를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고 덧붙인다. 국가 간 거래가 활발해질수록 한국 경제에 새로운 기회가 생긴다는 설명이다.
조선업이 대표적이다. 문 회장은 “국가별 그린수소 단가가 차이날 거고 값싼 국가에서 수출하고 타국이 수입하는 LNG와 비슷한 비즈니스가 생길 것이다. 이를 운반할 특수선이 필요한데 한국이 가장 강점을 지닌 부분이다. 조선업의 미래 먹거리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비슷한 입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4일 “해외 수소 도입망 구축과 관련해 국가별 타당성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 안에 주요 후보 국가 및 구체적 프로젝트를 도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
[수소경제 미래를 묻다]
▶(상)-①
▶(상)-②
▶(상)-③
▶(중)-①
▶(중)-②
▶(하)-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