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확대 위한 과감한 투자·수소 생산 방식 개선… 탈원전 유연한 적용을”

입력 2021-03-05 04:05

에너지 전문가들은 수소 경제가 성공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정부가 수소 생산 기술 및 연료전지 원천기술 확보, 수소충전소 등 인프라 확대에 더욱 과감하게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필요한 경우 수소 생산을 위해 원자력을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에너지경제연구원장을 지낸 김진우 연세대 특임교수는 4일 “수소 경제가 성공하려면 수소연료전지에 대한 국내 원천기술 확보와 수소생산 설비 확충에 정부가 좀 더 힘을 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소차를 비롯해 수송 측면의 기술력은 세계적인 수준이지만 수소 생산이나 연료전지와 관련한 원천기술이 아직 부족하기에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충전소 등 인프라 확충에 더욱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나온다. 문재도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 회장은 “수소 경제가 일상생활에 자리 잡으려면 수소충전소 확충 등 사용자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돼야 한다”며 “이를 통해 일정 수준 이상의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친환경 에너지로서의 수소 생산 방식을 질적으로 개선하는 작업도 중요 과제로 꼽힌다. 홍종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수소 경제가 자리 잡으려면 유럽만큼 재생에너지의 기반이 필요하다”며 “급하다고 부생수소(석유화학 정제 과정에서 나오는 수소)에만 계속 의존한다면 진정한 의미의 친환경 에너지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전체 발전량의 20% 수준인 유럽에서는 그린수소 생산 기술 개발이 한창이다. 한국은 이 비중이 2019년 기준 6%에 불과해 아직도 상당 부분 부생수소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일각에서는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 탈원전 정책을 보다 유연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주문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한 전문가는 “유럽에서는 신재생 발전을 통해 얻은 전력을 통해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원자로를 많이 확대하는 추세인데 우리는 탈원전 정책 때문인지 수소 경제 로드맵에 원자력 활용방안이 빠져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원자력 없이 신재생 발전만으로는 수소 생산 비용이 많이 든다”고 덧붙였다.

세종=이종선 신준섭 기자 remember@kmib.co.kr

[수소경제 미래를 묻다]
▶(상)-①
▶(상)-②
▶(상)-③
▶(중)-①
▶(중)-②
▶(하)-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