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폭발’ 사고, 한 번 나면 대형… 수소경제 걸림돌 되나

입력 2021-03-04 04:06

수소경제의 걸림돌 중 하나는 ‘수소 폭발’에 대한 우려다. 사고 빈도가 높은 건 아니지만 한번 사고가 나면 대형 사고로 이어진다는 인식이 가장 큰 문제다. 2019년 5월 강원도 강릉에서 8명의 사상자를 낸 수소탱크 폭발 사고가 대표 사례다.

3일 관련 업계 등에 따르면 수소 자체는 밀도가 낮고 가벼운 기체지만 가연성이 높다는 점이 안전성 문제로 항상 거론된다. 업계 관계자는 “수소 자체는 불을 붙인다고 바로 터지는 게 아니라 수소를 압축·보관하는 과정에서 압력을 지나치게 가할 때 터지는 건데 다행히 한국의 기술력이 선진국에 뒤지지 않기 때문에 폭발 위험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흔히 얘기하는 ‘수소 폭발’이란 개념은 중수소나 삼중수소와 같은 특수 수소를 섭씨 1억도 이상의 고온에서 터뜨릴 경우에 가능한 것이다. 일반적인 프로판가스보다 수소가 안전하다는 게 한국가스안전공사 등의 설명이다.

그런데도 안심할 수만은 없는 게 현실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한 수소 폭발 사례는 최근 4년간 총 11건에 달한다. 2017년 3건, 2018년 5건, 2019년 1건, 지난해 2건이 발생했다. 연평균 2.75건이다. 2019년 5월 강릉과학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수소탱크 폭발 사고는 수소의 위험성을 보여준 대표 사례로 꼽힌다. 당시 폭발 사고로 3300㎡ 규모의 건물이 뼈대만 남을 정도로 파손되고 7~8㎞ 밖에까지 폭발음이 들렸다.

이런 영향 탓인지 수소경제 정착을 위해 필수인 수소충전소나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설치 문제는 곧 지역주민 반발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서울 양재 수소충전소의 경우 안전 우려 민원으로 개장 후 1년여를 휴업했다가 지난해 11월에야 재개장 허가를 겨우 받았다.

산업부는 “수소경제위원회를 통해 수소와 관련된 안전관리 제도를 충실히 마련해 과거 강릉 수소탱크 폭발 사고와 같은 문제가 없도록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

[수소경제 미래를 묻다]
▶(상)-①
▶(상)-②
▶(상)-③
▶(중)-①
▶(하)-①
▶(하)-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