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올림픽 기정사실화?… 대한체육회 ‘백신 확보’ 나서

입력 2021-03-04 04:02
하시모토 세이코 도쿄올림픽 조직위원장이 3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 일본 정부, 도쿄도의 5자 화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하시모토 위원장 뒷편 화면에 앤드루 파슨스 IPC 위원장의 모습이 보인다. AP연합뉴스

코로나19 여파로 1년을 연기한 도쿄올림픽은 이제 개최를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와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그리고 일본 정부, 도쿄도, 도쿄 올림픽조직위원회 등 올림픽 관련 5개 조직은 3일 화상 회의에서 기존의 개최 입장을 유지한 채 관중 대책을 논의했다. 관중 유치 여부는 다음주 제137차 IOC 총회에서 다시 논의될 수 있지만, 변이 바이러스의 급속한 확산 같은 변수가 없는 한 올림픽 강행 기조를 뒤집을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대한체육회는 국가대표 선수단에 보급할 백신 확보에 나섰다.

하시모토 세이코 도쿄 올림픽조직위원장은 회의를 마친 뒤 “관객 수의 상한선을 이달 중으로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에서 해외 관중 입국 불허를 숙고한다는 마이니치신문 보도가 나왔지만, 하시모토 위원장은 “무관중은 전혀 논의되지 않았다”고 일축했다.

회의에는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 앤드루 파슨스 IPC 위원장, 마루카와 다마요 올림픽 담당상,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가 동석했다. 바흐 위원장은 회의 초두에 “대회 성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확실한 코로나 대책이다. 우리들은 최선을 다해 안전한 대회를 만들어야 한다”면서 “각국 올림픽위원회(NOC)는 가능하면 선수단에게 백신을 접종한 뒤 도쿄에 파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들의 회의 내용은 오는 10~12일 IOC 총회에서 206개 회원국의 의견을 묻는 안건으로 상정될 전망이다. IOC는 당초 각국 위원들을 그리스 아테네로 소집해 총회를 진행할 계획이었지만, 코로나19 억제를 위해 사상 첫 화상 회의 방식을 택했다. 한국에서는 IOC 위원인 이기흥 체육회장과 유승민 대한탁구협회장이 총회에 참석한다.

총회에서 합의된 관중 유치 여부는 일본 후쿠시마현에서 성화가 출발하는 오는 25일 전후로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관중 대책이 결정되면 오는 7월 23일로 개막이 예정된 도쿄올림픽 준비는 마무리 단계에 들어간다. 남은 과제는 일본 내 코로나19 및 변이 바이러스 확산 억제와 각국 선수단에 대한 백신 보급이다.

대한체육회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백신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체육회 관계자는 “올림픽 국가대표 선수, 지도자, 임원에게 지급할 백신 확보 방법을 문화체육관광부, 질병관리청과 논의하고 있다”며 “백신을 지금처럼 의료진에게 우선 접종하면서 선수단에게 돌아갈 물량을 확보해 달라고 질병관리청에 요청했다.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대한체육회가 예상하는 올림픽 선수단의 백신 물량은 1000여개다. 그중 일부는 현재 진행 중인 각 종목별 올림픽 예선 해외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단으로 먼저 돌아갈 예정이다. 체육회는 올림픽 출전자를 대부분 확정할 오는 6월까지 백신 접종을 완료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도쿄로 파견할 한국 선수단 규모는 350명 안팎으로 예상된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