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2.7조 추가 투자”… 바이든에 ‘배터리 판결 뒤집기’ SOS

입력 2021-03-03 04:05

SK이노베이션이 LG에너지솔루션의 승리로 마무리된 배터리 소송 결과를 뒤집기 위해 ‘추가 투자’ 카드를 던졌다.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망 구축에 힘쓰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마음을 잡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일(현지시간) SK이노베이션이 미 행정부 관료들에게 국제무역위원회(ITC) 결정을 백악관이 번복해 달라는 내용의 서류를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SK이노베이션은 “백악관에 직접 제출한 게 아니라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제출한 것”으로 “통상적 절차”라고 설명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달 10일 ITC가 LG에너지솔루션의 손을 들어주면서 26억 달러(2조9205억원)를 투자한 조지아주 배터리 공장이 버림받을 수도 있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WSJ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조지아주 공장에 24억 달러(2조6959억원)를 추가 투자해 34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계획도 제안했다.

이에 LG에너지솔루션도 무역 관료를 만나 ITC의 기존 결정을 유지해 달라고 호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ITC 판결로 SK이노베이션의 미국 내 영업이 중단될 경우 LG에너지솔루션이 포드, 폭스바겐 등을 위해 배터리 추가 생산을 할 수 있다는 논리로 설득했다고 WSJ는 전했다.

업계는 바이든 대통령의 반도체·배터리·희토류 공급망 개선 행정명령 서명을 눈여겨보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ITC 판결 이후 60일의 검토 기간을 거쳐 거부권 행사 여부를 결정하는데 행정명령에서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지난달 24일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은 중국을 견제하면서 미국 내 전기차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중국 기업 투자 독려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내 전기차 배터리 생산설비를 갖춘 기업은 중국의 CATL, 일본의 파나소닉과 한국의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등 4곳에 불과하다. 바이든 정부가 SK이노베이션의 10년 수입금지 명령을 부담으로 느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WSJ는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 간 다툼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해외 제조업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배터리 국내 생산능력을 구축하는 것과 관련 있다”며 “바이든 행정부의 우선순위에 대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