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국무총리는 25일 여당이 추진 중인 검찰의 수사·기소권 완전 분리와 관련해 “개인적으로 수사와 기소는 분리되는 게 옳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논의가 국회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만큼 국회의 입법을 존중하겠다고 전했다. 모든 부처 사안에 대해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겠다는 이른바 ‘오픈 브리핑’을 두고 일각에선 정 총리가 대권 존재감을 부각하려는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30여분간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했다. 출입 부처나 기자단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기자로부터 질문을 받고 이에 답했다.
그는 검찰 개혁과 관련해 “개인적으로는 수사와 기소를 분리하는 데 적극 찬성하지만 이 문제는 국회에서 제기된 것”이라며 “국회에서 법안이 통과되면 정부가 그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했다. 검찰 개혁 ‘속도조절’을 놓고 청와대와 여당이 다른 목소리를 내는 데 대해선 “문재인 대통령과 검찰 개혁 문제를 따로 의논하거나 건의 드린 내용은 없다”면서 “검찰 개혁 속도와 같은 문제에서도 국회가 입법하면 정부로선 그것을 존중하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가덕도신공항 추진에 반기를 든 국토교통부에 대해서도 “특별법에 여야가 합의했는데 (정부가) 그것을 모른 척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국회에서 추진되는 가덕도신공항특별법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모든 부처 기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이날 개방형 정례브리핑은 폐쇄적인 출입 기자단 관행을 개선해야 한다는 취지로 시도됐다. 앞서 정 총리는 “(출입 기자단 관행은) 문제가 있다. 부자연스러운 관행이 있다면 타파하는 게 옳다”면서 기자단 운영방식을 비판했고, 박범계 법무부 장관과도 검찰 기자단 해체 국민청원과 관련한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정부가 기자단 폐지 수순을 밟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정 총리는 그러나 “기자단을 해체하거나 폐쇄하는 것은 지혜롭지 못한 일이고, 그럴 계획이나 생각도 갖고 있지 않다”고 일축하며 전 부처 현안 브리핑을 통해 부처 중심의 기자단 운영을 개선해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