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취 대통령에 일임” 신현수 사의파동 일단 멈춤

입력 2021-02-23 04:00
박범계 법무부 장관의 일방적인 검찰 인사에 반발해 사의를 표명했다가 휴가에서 복귀한 신현수 청와대 민정수석이 22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을 듣고 있다. 신 수석은 자신의 거취를 문 대통령에게 일임했다. 연합뉴스

검찰 인사를 둘러싼 갈등으로 ‘사의 파동’을 일으킨 신현수 청와대 민정수석이 22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거취를 일임하고 직무에 복귀했다. 사의를 스스로 철회하지 않고 문 대통령에게 거취를 맡기는 방식으로 절충점을 찾은 것으로 해석된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의 일방적인 인사 발표로 촉발된 사의 파동이 벼랑 끝에서 일단 멈춘 것이다. 문 대통령은 ‘결정의 시간’을 갖게 됐다. 하지만 문 대통령과 신 수석, 박 장관 모두 적잖은 정치적 상처를 입게 됐다.

정만호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기자들을 만나 “신 수석이 대통령에게 자신의 거취를 일임하고 최선을 다해 직무를 수행하겠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신 수석은 별도의 현안 보고 자리에서 문 대통령에게 이같은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신 수석은 이날 오전 대통령과의 티타임에 참석했고, 오후에 열린 청와대 수석·보좌관회의에도 나왔다. 거취를 일임한 상태에서 정상 직무를 수행 중이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신 수석의 거취는 문 대통령이 추후 결정하게 된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문 대통령이 그동안 신 수석의 사표를 반려해 온 만큼 당장 민정수석을 교체할 가능성은 작다. 다만 문 대통령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나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의 사표를 반려할 당시 “재신임한다” “지금은 때가 아니다”고 말한 것과는 분위기가 다르다. 문 대통령이 이날 입장을 곧바로 밝히지 않은 것은 민정수석 교체까지 고심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신 수석이) 거취를 일임했으니 확실히 일단락된 것”이라며 “사의 표명이 있었고 (문 대통령이) 반려했고 그 뒤에 진행된 상황은 없는 상태에서 거취를 일임했으니 대통령이 결정할 시간이 남았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사의를 굽히지 않았던 신 수석이 나흘간의 휴가 후 대통령에게 거취를 맡긴 것은 자신의 사의가 문 대통령에게 맞서는 듯한 모양새로 비화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신 수석이 박범계 장관과 인사 갈등으로 사의를 여러 차례 밝히고 문 대통령이 만류하면서 결국 인사권자인 문 대통령에게 항의하는 듯한 구도가 연출됐기 때문이다.

‘사의 파동’은 일단 봉합됐지만 청와대 핵심 참모와 법무부 장관의 갈등, 검찰에 대한 여권 내 분열상이 고스란히 드러나면서 문 대통령의 부담도 커졌다. 박 장관은 첫 인사부터 비판을 받게 됐고, 신 수석도 참모로서 과잉 대응한다는 지적을 받게 됐다. 특히 이 과정에서 박 장관이 문 대통령 재가 없이 지난 7일 검찰 인사를 발표했고, 이에 신 수석이 박 장관 감찰을 요구했다는 말까지 나오기도 했다. 청와대는 이에 대해 이날 “사실이 아니다”고 재차 반박하는 등 파문 차단에 나섰다.

여당 내에서 신 수석에 대한 비판이 공개적으로 터져나오는 것도 청와대로서는 부담스러운 대목이다. 더불어민주당 김경협 의원은 CBS라디오에 나와 “대통령을 열심히 보좌할 생각이 있으면 하는 것이고, 평안감사도 자기 싫으면 못 하는 것”이라며 “(신 수석이) 자기 정치를 하려고 하면 안 된다”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이 신 수석을 유임시킬 경우 검찰과의 관계 회복을 내세운 신 수석과 검찰 압박에 나선 여당 내 강경파가 사사건건 충돌할 개연성이 높다. 임기 말 당청 갈등의 불씨가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