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이후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급증했지만 정부는 향후 추이를 지켜보기로 했다. 확진자가 주중 한때 하루 600명대까지 올랐지만 재확산의 조짐일 수도, 일시적 현상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자율·책임 기조의 새 거리두기 체계를 시행하기로 했던 상황에서 섣불리 방역 정책을 조정하지는 않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19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주말까지는 현재의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고 말했다. 손 반장은 “다음 주 초까지 지켜보면서 거리두기 조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보다 561명 늘어났다. 누적 기준으로는 8만6128명이다. 최근 1주간 하루 평균 국내 발생 확진자는 444명으로 2.5단계 거리두기 기준을 충족한 상태다. 손 반장은 “수도권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유행이 다시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재확산 여부 판단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게 방역 당국의 입장이다. 설 연휴 직후 검사량이 늘면서 확진자 숫자도 일시적으로 따라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연휴와 거리두기 완화의 영향은 다음 주쯤 돼야 나타날 전망이다.
정부는 거리두기 단계 재상향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면서도 향후 2주간 제조업·건설업 사업장 1000곳의 방역 수칙 준수 여부를 집중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치유센터·수련원 등의 이름으로 운영되는 폐쇄적 종교시설들을 지속적으로 관리 대상에 편입시키고 있다. 한편 개인정보 유출 위험을 감안한 방역 조치 개선도 이뤄졌다. 이날 정오부터는 식당 등의 출입명부를 작성할 때 휴대전화번호를 ‘개인안심번호’로 대체할 수 있게 됐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신속한 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고민이 길어지면 3차 유행 당시의 실책을 되풀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새로운 거리두기 체계 마련도 서둘러야 한다고 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현행 거리두기는 한계를 드러낸 지 오래”라며 “상황이 엄중할수록 전략을 과감히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