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청정구역이라던 北, 해킹 통해 국내외 백신·치료제 탈취 시도

입력 2021-02-17 04:03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해킹을 통해 국내외 코로나19 백신·치료제를 탈취하려 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청정지역임을 주장하면서도 백신 및 치료제 확보가 시급했던 셈이다. 국정원은 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의 실질적인 위상과 역할이 최근 제8차 노동당 대회를 계기로 변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국회 정보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하태경 의원은 16일 국정원 비공개 전체회의 직후 가진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전했다.

하 의원은 “(우리나라에 대한) 사이버 공격 시도는 하루 평균 158만건으로, 지난해와 비교해 32%가 증가했다”며 “코로나19 백신 및 원천기술을 탈취하려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도 있었다. 화이자도 (원천기술을) 탈취당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정보당국 관계자는 “국정원은 화이자 등 해킹 대상을 특정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국회 정보위 여당 간사인 김병기 의원에 따르면 국정원은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위상·역할이 전혀 변하지 않았을 것으로 판단했다. 지난달 8차 당 대회를 계기로 당 정치국 후보위원직을 잃고 제1부부장에서 부부장으로 강등됐으나, 여전히 명실상부한 2인자로서 활동하며 대남·대미 업무를 관장하고 있다는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은 “김 부부장의 지위가 내려간 것은 김 위원장의 지위를 부각하고 (김 부부장에 대한) 내외의 관심을 낮추기 위한 방편임과 동시에 성과가 미흡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고 부연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의 부인 리설주 여사가 1년 넘게 공개석상에서 모습을 나타내지 않는 것은 코로나19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혹시 모를 코로나19 감염을 우려해 자녀들과 함께 특정 장소에 머물며 외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비사회주의 척결을 강조하면서 한류 소비에 대한 처벌을 대폭 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 의원은 “남한 영상물을 유입하거나 유포할 시 최대 사형에 처하도록 법을 제정했다”며 “(남한 영상물을) 시청할 경우 기존 징역 5년에서 15년으로 형이 강화됐다”고 전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