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내려온 것으로 추정되는 남성이 16일 동해 민간인통제선(민통선) 검문소 일대에서 붙잡혀 군 당국의 조사를 받고 있다. 사건 발생 지역에서 여러 차례 북한군 귀순이 있었던 만큼 해당 부대의 경계태세가 허술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4시20분쯤 육군 22사단 관할 지역인 강원도 고성 해안가에서 남쪽으로 향하던 남성 1명이 CCTV에 포착됐다. 이에 군은 대침투 경계령인 ‘진돗개 하나’를 발령했고, 작전 병력을 투입해 오전 7시20분쯤 남성의 신병을 확보했다. 처음 CCTV에 포착된 지 3시간여 만이다.
20대 초반으로 추정되는 남성은 조사 과정에서 귀순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탈영병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합참 관계자는 “남하 과정과 귀순 여부 등 세부 사항에 대해 관계 기관 공조 아래 조사 중”이라며 “해당 지역의 해안 경계를 포함, 경계태세 전반을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건 발생 부대에선 3개월 전인 지난해 11월 북한군 남성의 이른바 ‘철책 귀순’이 발생했다. 앞서 2012년 10월에는 북한군 병사가 군 초소 문을 두드려 귀순 의사를 표했던 일명 ‘노크 귀순’도 있었다.
합참은 이 남성이 육상뿐 아니라 해상으로 넘어왔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조사 중이다. 그러나 해상으로 헤엄쳐 왔다 해도 해안 경계·감시망에 심각한 허점을 드러냈다는 지적을 피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이 남성이 철책이나 해안가에서 수㎞ 떨어진 민통선 검문소 인근으로 이동할 때까지 군이 몰랐기 때문이다. 군은 ‘5분대기조’ 병력까지 출동시켰지만 남성의 신병을 확보하는 데 3시간이 걸렸다.
해상으로 넘어왔다면 한겨울 추운 날씨에 바다에 뛰어든 것이어서 저체온증 등에 대비한 잠수복 등 보조 장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군은 장비가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수색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해당 부대의 경계태세 전반에 대해 합참 전비태세검열실과 지상작전사령부 검열실이 합동으로 확인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