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경주시가 공공기관 지방 이전 유치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경주시는 지역발전의 신성장 동력 확보의 일환으로 16일 경주시청 알천홀에서 ‘경주 공공기관 이전 지역발전 전략’이라는 주제로 포럼을 열었다.
정부는 수도권에 본사를 둔 공공기관 360여곳 중 100~150곳 정도를 지방으로 이전하는 ‘혁신도시 시즌 2’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참여정부 당시 수도권에 있던 공공기관 153곳을 10개 혁신도시로 이전하기로 한 후 10여년 만이다.
포럼에서 기조연설자로 나선 대통령 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김사열 위원장은 비정상적 형태의 수도권 과밀화를 지적하며, 불균형 해결을 위한 국가균형발전 비전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수도권에만 대한민국 인구의 50.2%, 지역 내 총생산은 52%, 1000대 대기업 본사의 75.4%, 신용카드 사용액의 72.1%가 집중돼 있다”고 지적하며 “문재인 정부의 5대 국정목표 중 하나인 ‘고르게 발전하는 지역’을 핵심과제로 지역이 주도하는 국가균형발전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발제에서 동국대 창의융합공학부 김규태 교수는 ‘산학연 현황 및 공공기관 유치전략’을, 동국대 상경대학 주재훈 교수는 ‘문화관광을 통한 균형발전의 디오니소스적 접근’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규태 교수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통제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재단 등 원자력안전위원회 산하 주요 공공기관의 현황을 나열하며 형평성과 효율성에서 경주 유치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주재훈 교수는 한국문화재재단, 국립박물관문화재단,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정보원 등 경주에 적합한 역사·문화 공공기관 유치를 강조했다.
이어 서라벌대 사회복지학과 이상덕 교수의 진행으로 열린 토론회에서는 김주일 한동대 교수, 박병춘 계명대 교수, 김규호 경주대 교수, 이종인 전 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 나중규 대구경북연구원 선임연구원이 경주발전 방안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았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언제까지나 수도권이 국가의 발전을 견인해 나갈 수 없을 것”이라며 “지역균형발전이 국가의 미래를 위한 투자임을 고민하는 자리가 되었길 바란다”고 말했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