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자치구마다 소상공인 종합지원플랫폼 설치

입력 2021-02-17 04:05
서울시청. 연합뉴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자영업자를 위한 지원센터가 서울 25개 전 자치구에 설립됐다. 이곳에선 자금지원부터 경영 상담, 교육, 사업장 정리·재기까지 사업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밀착 지원한다.

서울시는 69만 서울지역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상 ‘2021년 소상공인 종합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우선 자치구별로 1곳씩 ‘소상공인 종합지원플랫폼’ 설립을 마쳤다. 기존에는 자금지원과 생애주기별 서비스를 받기 위해선 서울신용보증재단(지점)과 자영업지원센터를 각각 방문해야 했다. 이제부턴 서울신용보증재단 지점인 ‘소상공인 종합지원플랫폼’에서 원스톱으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종합플랫폼에선 지역 내 소비 트렌드와 상권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과 컨설팅을 제공한다. 상인단체·구청·공공기관·대학 등이 연계한 지역협의체를 구성해 매년 25개 골목상권을 선정하고 5000만원 내외의 교육·컨설팅·시설개선 등의 맞춤형 패키지 지원을 시행한다.

창업기 소상공인에겐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를 활용한 지역 상권 분석을 제공한다. 또 업종별 실전창업교육, SNS마케팅교육 등 56개의 커리큘럼을 소상공인 종합지원포털 내 소상공인 아카데미에서 무료 공개한다.

성장기 소상공인에겐 업종별 맞춤형 클리닉(진단-처방-치유)을 제공하고, 시설개선이 필요한 사업장에는 최대 100만원(소요비용 90%)의 비용을 지원한다. 3명 이상의 소상공인이 협업할 경우 공동시설 및 공동사업(브랜드, 마케팅 등) 소요 비용을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한다. 복합적인 경영난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에겐 각 분야 전문가들이 6개월간 점포 경영상태를 확인하고 개선방안까지 제안하는 ‘소상공인 동행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경영악화, 매출 부진 등으로 폐업했거나 폐업 예정인 퇴로기 소상공인들에겐 안정적으로 사업장을 정리할 수 있도록 돕고, 밀린 임대료나 점포원상복구비 등을 지원해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코로나19 등으로 폐업하거나 예정인 소상공인들에겐 사업정리 및 재기 지원금을 최대 800여곳에 200만원씩 지원한다. 폐업 소상공인이 지원을 신청하면 전문가가 사업장을 찾아 사업장 정리에 필요한 컨설팅과 업종전환 및 재창업, 취업 등과 관련된 상담과 폐업 지원금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지원금은 임대료, 점포원상복구비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오는 5월부터 혁신 생활창업 지원기관인 ‘상권혁신 아카데미’(성수동 소재)가 운영된다. 시행 첫해인 올해는 외식업(디저트 포함) 위주로 20명의 교육생을 선발, 철저히 준비된 창업자를 양성할 계획이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