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위기 극복을 위해 추진돼온 ‘대구경북 행정통합’이 곳곳에서 장애물을 만나 주춤하는 모양새다.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분위기 때문에 소통조차 힘들어지면서 대구시와 경북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4일 대구시와 경북도 등에 따르면 ‘대구경북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이하 공론화위)가 행정통합 로드맵을 구체화해 일정을 추진중인 가운데 안동시의회에서 행정통합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안동시의회 건물에는 ‘대구경북 행정통합 결사반대’라고 적힌 대형 현수막이 걸리는 등 부정 기류가 점점 강해지고 있다. 경북도민의 의견을 무시한 일방적 형태의 행정통합 추진에 동참할 수 없다는 게 이유다.
안동시의회는 지난해부터 꾸준히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안동시의원들은 안동시청과 경북도청 앞에서 릴레이 1인 시위를 벌이며 자신들의 주장을 알리고 있다.
군위군도 행정통합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 부지 선정 합의로 대구시 편입을 약속받은 군위는 편입 문제를 행정통합과 연계하려 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언제 성사될지 모르는 다른 정치적 사안과 편입 문제를 엮지 말고 약속대로 편입을 서둘러 추진하라는 것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관심 저하도 공론화위의 골칫거리다. 행정통합의 경우 시·도민의 뜻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으면 이후 행정통합에 대한 반발 등 부작용이 발생해 발목을 잡을 수 있는데 코로나19 사태가 활발한 논의를 막고 있다. 최근 3차례 열린 시·도민 온라인 열린토론회의 각 토론회당 접속인원이 수백명에 그친 것으로 알려졌다. 안동시의회 반대나, 군위군의 반발 등 논쟁 사안을 해결하기 위한 활발한 논의가 어려운 실정이다.
공론화위는 행정통합 공론화 일정을 2개월 연장했다. 시·도민 온라인 열린토론회 이후 공론화 일정인 대토론회, 여론조사, 숙의공론조사는 물론 주민투표와 특별법 제정 등 행정통합 현실화를 위한 마지막 일정도 2개월 더 연장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코로나19로 제약이 있지만 사용 가능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시·도민의 관심도를 높일 계획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모든 과정이 차례로 늦춰지겠지만 충분한 사전 준비와 논의를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며 “주민들이 직접 만들어가는 상향식 행정통합 추진을 위해 주민들에게 행정통합의 필요성과 효과 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