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 ‘중거리 핵전력 조약(INF)’ 체결을 주도하는 등 냉전 종식에 기여한 조지 슐츠(사진) 전 미국 국무장관이 6일(현지시간) 세상을 떠났다. 향년 100세.
싱크탱크 후버연구소는 7일자 부고를 통해 슐츠 전 장관이 스탠퍼드대 캠퍼스에 위치한 자택에서 숨을 거뒀다고 밝혔다. 슐츠 전 장관은 최근까지 스탠퍼드대 경영대학원 명예교수 겸 후버연구소 특별연구원으로 활동해왔다.
1920년 뉴욕 태생인 슐츠 전 장관은 MIT와 시카고대에서 교수 생활을 하다 69년 리처드 닉슨 행정부의 노동장관으로 처음 입각했다. 이어 닉슨 행정부에서 백악관 예산관리국장과 재무장관을 지냈고, 82년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국무장관으로 지명됐다. 미국 역사에서 장관급 직책 네 개를 역임한 사람은 엘리엇 리처드슨과 더불어 단 둘뿐이다.
슐츠 전 장관은 6년6개월 간 국무장관으로 재임하며 구소련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미·소 군사 대결이 극심하던 상황에서도 소련 측 카운터파트였던 예두아르트 셰바르드나제 전 외교장관과 물밑 협상을 이어갔고, INF 체결이라는 성과를 낳았다. INF는 사거리 500~5500㎞인 중거리 미사일 보유를 전면 금지하는 내용으로 냉전시대 군비경쟁을 종식한 문서로 꼽힌다.
한국과의 인연도 적지 않다. 83년 국무장관 자격으로 레이건 전 대통령 방한을 수행하는 등 여러 차례 방한한 경험이 있다. 87년 6월 민주항쟁 국면에서는 전두환 정권이 강경 진압에 나서지 못하도록 압박함으로써 한국 민주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92년에는 세계 평화와 인류 화합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2회 서울평화상을 받았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