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가뒷담] 국세청엔 재경직 수석… 기재부는 정원 미달

입력 2021-02-09 04:03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수습 사무관들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당부해 눈길을 모았다.

줄곧 성적 최상위권을 독차지했던 기재부가 재경직 수습 사무관들에게 희망 부처 지원을 받는 과정에서 정원을 못 채웠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다. 세간의 평가를 의식한 듯 홍 부총리는 “기재부는 업무가 더 고되고 경쟁도 치열하지만 그만큼 역량 발휘와 기회의 창은 더 넓은 곳”이라며 힘주어 말했다.

기재부는 올해 재경직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미달 부처’가 됐고, 일반행정직에서도 새만금개발청과 동급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결과적으로 일반행정직 및 재경직 각각의 성적 최상위 5위권 중 1명만이 기재부에 배치됐다.

반대로 국세청에는 성적이 좋은 사무관들이 몰리고 있다. 재경직 1위 등 일반행정직·재경직 최상위권 가운데 3명이 국세청에 배치됐다. 연수원 성적 1위를 차지한 수습 사무관도 배치된 것으로 전해졌다.

국세청의 인기는 최근 몇 년 새 크게 높아졌다. 2000년 이후 국세청을 선택한 수석 합격자가 없었지만 2016, 2017년도 2년 연속 수석 합격자가 국세청에 배치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가에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기재부 한 공무원은 “예전에는 국세청·관세청 소속 인재들이 서로 기재부에 파견을 와서 자리를 잡으려고 줄을 섰는데 상황이 바뀌었다”고 말했다.

‘실리’를 추구하는 젊은 사무관들의 성향이 반영된 결과라는 말이 나온다. 국세청은 세무 분야 전문성을 키울 수 있고, 퇴직 후 기회도 열려 있다는 것이다. 기업이나 대형 로펌 등 세무 관련 업무로 이직하거나 세무사 자격증을 취득해 개업하는 길도 있다. 상대적으로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을 살릴 수 있기도 하다.

반면 기재부는 높은 업무 강도, 고질적인 인사 적체 등 단점이 두드러진다. 한 공무원은 “소위 ‘90년대생’ 사무관이 늘어나며 발생한 자연스러운 변화”라고 진단했다. 기재부 장차관도 대책 마련을 지시했지만, 정작 관련 과는 뚜렷한 대책이랄 게 없어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세종=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